![]() | ![]() | |||
| ||||
![]() | ![]() |
‘현대 한국불교의 산증인’으로 불릴 만큼 석주 스님의 이력은 화려하다. 58년 불국사 주지, 61년 선학원 이사장, 76년 은해사 주지, 77년 초대 조계종 포교원장, 71년과 84년 조계종 총무원장을 지냈다. 이 외에도 70년 대한불교청소년교화연합회 총재, 80년 중앙승가대 초대 학장, 89년 동국역경사업진흥회 이사장, 94년 조계종 개혁회의 의장, 원로회의 부의장을 맡아 일평생 종단 발전에 헌신해왔다.
평생 역경불사 진력
1909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난 석주 대종사는 15세 때인 23년 서울 선학원에서 남전 스님을 은사로 득도했다. 33년 범어사 강원 대교과를 마친 뒤 오대산 상원사, 금강산 마하연, 덕숭산 정혜사, 묘향산 보현사 등 제방 선원에서 수선 안거를 성만했다.
이후 석주 스님은 역경에 대한 원력을 세워 61년 운허 스님과 함께 현 동국역경원의 전신인 법보원을 설립해 역경불사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여기에서 <열반경> <법화경> <유마경> <육조단경> <현우경> <선가귀감> 등을 번역 출판했고, <부모은중경> <목련경> <우란분경>은 직접 번역하기도 했다.
또한 64년 동국역경원 설립 이후에는 운허 스님과 함께 한글대장경 편찬사업에 착수, 37년만인 2002년 9월 318권의 ‘한글대장경’을 완간했다. 스님의 역경불사 원력은 주석하던 칠보사의 대웅전을 친히 ‘큰법당’이라고 현판을 바꾸고 우리말 경전 보급에 앞장섰던 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불교혁신 족적 남겨
![]() | ![]() | |||
| ||||
![]() | ![]() |
석주 스님은 46년 경봉·용담·대의·석기 스님, 조명기 박사, 이구열, 장상곤 등 청년회원, 혁신회를 만들었던 이종익 박사와 여성동맹이 중심이 돼 조직된 불교혁신연맹에 가담했으며, 53년부터 시작된 불교정화운동에 적극 동참했다. 종단개혁의 요구가 일시에 불거졌던 94년 종단개혁 과정에서도 개혁회의 의장을 맡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석주 스님은 어린이·청소년 포교의 선구적인 역할로 큰 족적을 남겼다. 불교계의 어린이포교가 전무했던 65년 서울 칠보사에 어린이회를 창립한 것. 아울러 66년부터 70년대까지 청소년교화연합회 고문과 총재를 맡아 청소년 교화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기울였다. 총무원장으로 있던 75년에는 부처님오신날을 국가 공휴일로 지정하기도 했다.
또한 후학 양성에도 노력을 아끼지 않아 80년 중앙승가대학 초대학장, 88년 명예학장을 역임하면서 현대식 승가교육의 정착에 기여했다. 97년에는 온양 보문사에 사회복지법인 안양원을 설립해 노인복지 사업에 매진하기도 했다.
조계종 원로 석주(昔珠)당 정일(正一) 대종사 영결식은 11월 18일 오전 11시 부산 범어사 보제루에서 봉행된다. 이에 앞서 석주 대종사는 14일 오후 4시 아산 보문사에서 원적에 들었다.
영결식은 원로회의장(위원장 종산)으로 치러지며, 빈소는 서울 봉은사, 서울 칠보사, 아산 보문사 등지에 차려져 있다.
다음은 연대별 약력이다.
1909년 3월 4일 경상북도 안동군 북후면 옹천마을에서 탄생
1923년 남전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선학원에서 6년간 행자 생활
1928년 범어사에서 남전스님을 은사로 득도
1933년 범어사 불교전문 강원 대교과 졸업
1936년 ~ 1939년 오대산 상원사, 금강산 마하연사, 덕숭산 정혜사, 묘향산 보현사 등에서 효봉, 해산, 해암스님 등과 함께 안거 성만
1946년 불교혁신연맹을 경봉ㆍ용담ㆍ대의ㆍ석기 스님등과 조직, 불교개혁에 앞장 섬
1949년 부산 범어사에서 동산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받음
1953년 10월 효봉ㆍ동산ㆍ금호ㆍ청담ㆍ자운 스님등과 함께 불교정화운동을 위한 촉구 결의를 선학원에서 가짐
1954년 5월 30일 대의ㆍ종익ㆍ재열ㆍ정영 스님들과 불교정화운동 발기
1958년 대한불교 조계종 제11교구본사 불국사 주지
1959년 범어사에서 대덕 법계 품수
1960년 불교정화 사태수습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 위원
1961년 재단법인 선학원 이사장, 운허 스님과 함께 법보원을 설립
1963년 ~ 1966년 스님과 재가신도들의 종단운영을 위한 기획위원회 구성
1969년 사회사업후원회 발족, 동국역경원 부원장, 봉은사 주지
1970년 대한불교청소년교화연합회 총재
1971년 대한불교조계종 제7대 총무원장
1976년 대한불교조계종 제 10교구본사 은해사 주지
1977년 대한불교조계종 초대 포교원장
1980년 중앙승가대학 초대학장
1983년 비상종단운영회의 발족, 부의장 겸 상임위원직을 맡음
1984년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1988년 중앙승가대학 명예학장
1989년 동국역경사업 진흥회 이사장
1994년 대한불교조계종 개혁회의 의장
1995년 동국역경원 한글팔만대장경 역경사업 후원회 회장
1997년 불교사회복지시설 안양원 설립(온양 보문사)
現 온양 보문사 불교사회복지관장, 칠보사 조실, 봉은사 조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