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조계종 생명윤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동국대 불교생태학 프로젝트에도 참가하고 있는 고 교수는 “불교가 다양한 학문과의 교류를 통해 현실 상황을 진단하고 그 답을 추구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우리 시대의 새로운 불교학은 씨줄인 불학 및 순수학과 날줄인 불교학 및 응용학이 건강하게 만나는 것입니다.
| ||||
하지만 이처럼 오늘날의 현실고를 치유해줄 사상인 불교와 불학이 우리 사회의 주요담론이 되지 못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고 교수는 그 내적 요인으로 불자들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지 못하고 대화나 소통이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조심스레 진단하고 있다. 상대방과의 ‘차별’이 아닌 ‘차이’를 인정하고 배려하고 대화함으로써 불학과 불교학이 ‘중도 지혜의 길’을 추구해 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 불학의 길>(고영섭 지음, 정우서적, 1만2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