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7 (음)
> 문화 > 학술·문화재
"고불총림, 불교 정화 위해 출범"
발굴화제-김광식교수 논문 '고불총림과…'서 주장

사진=이준엽 기자 만암 스님이 친필로 쓴 고불총림 강령과 그 강령이 담긴 책자
“고불총림의 출범은 기존 교단과의 차별성에서 출발했다. 해방 당시 혼란을 거듭하고 있던 불교의 정화를 위한 것이었으며, 급진적 개혁론이 주류를 이뤘던 것과는 달리 대처승을 인정하자는 등의 현실적이고 점진적이며 단계적인 정화를 주장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김광식 교수(부천대)의 논문 ‘고불총림과 불교정화’는 고불총림 출범 당시 마련된 강령과 규약을 근거로 고불총림의 개요와 성격을 불교정화의 관점에서 정리한 것이다. 고불총림에 대한 학술적 접근도 특이하지만, 불교정화라는 관점에서 고불총림의 성격을 규정한 것은 처음이다.

특히, 고불총림을 이끌었던 만암 스님이 왜 대처승을 인정하자고 제안했는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면서, ‘온건하게 정화를 했더라면 지금과 같은 불교계의 분열은 없었을텐데…’라는 아쉬움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이 논문은 11월 중순 경 발간될 홍선 스님(중앙승가대 대학원)의 정년퇴임 논총에 실릴 예정이다.


김 교수는 “고불총림을 불교정화 측면에서 접근한 것은, 여러 가지 모순과 문제점을 수반하지 않고 정화운동을 할 수는 없었는지, 또 대처승을 반드시 승단과 사찰에서 축출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의문 때문”이라고 밝혔다.

일제 식민지 불교 체제하에서 발생한 불교계의 모순을 극복하자는 취지로 1954년 시작된 불교정화운동은 조계종단을 재정비한 한국 현대불교사의 커다란 사건이었다. 당시 불교정화는 공권력 및 언론의 지원을 받은 이른바 비구승 측의 주도로 전개되었으며, 이에 반해 기존 교단 및 사찰의 권한을 담당하였던 대처승 측은 이에 강력히 반발했었다.

김 교수는 논문에서 “그 당시 불교정화의 타당성은 인정하면서도 온건하게 불교정화를 주장한 스님이 있었는데, 바로 만암, 효봉, 법흥 스님이 그랬던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김 교수는 “만암 스님이 고불총림을 조직하면서 11개 항의 강령을 마련했는데, 그 중에 기존의 4부중에서 5부중으로 갈 수밖에 없음을 지적한 것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11개 항의 강령 중 제 4항 ‘법중(法衆)조직’에는 승려를 ‘호법중(護法衆 대처승)’과 ‘정법중(正法衆 비구승)’으로 분류하고 이를 수용하자는 의견을 제시하고, 고불총림 청규에서는 현실상의 이유를 들어 정법중과 호법중으로 구분할 수밖에 없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김 교수는 이에 대해 “대처승을 승단의 구성원으로 인정한 것은 상당히 파격적인 제안”이라며 “이것은 식민지 체제하에서의 계율파괴가 불가피했음을 인정하고, 제도권에서 대처승의 생존과 활동을 보장하자는 의미를 띠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또 “삼보사찰인 통도사 해인사 송광사부터 청정 비구들이 운영을 주도케 하고 여타 사찰은 점진적으로 비구 중심의 사찰로 전환케 한 것은 현실은 인정하지만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정화에 뜻을 두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김 교수는 “불교정화 측면에서 고불총림은 귀중한 역사성을 갖고 있으나 지금까지는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고 지적하고 “교단과의 차별성, 현실성, 개방성, 점진성 등 고불총림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명우 기자 | mwhan@buddhapia.com |
2004-11-05 오후 5:23: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