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4 (음)
> 종합 > 기획·연재
유건집의 '연표로 보는 차문화사'---삼국시대①
<유건집 교수의 연표로 보는 차 문화사>
2. 삼국시대①

이 시기 중국에서는 아직 약간의 신화적인 선계(仙界) 이야기와 귀신 이야기가 등장하지만 차가 약용으로는 물론 음용(飮用)으로도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차의 보급이 확대되어 계층의 구분 없이 생활화되었고, 상품으로 매매되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이 시기가 차문화의 배태기(胚胎期)라 할 수 있다. 그것은 크게 두 가지로 보는 차의 전래 중 하나가 이 시기에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남방 전래설에서 본다면 가야 허황옥의 도래는 상당한 의미를 가진다. 근래에 우리 말 속에 인도의 남방언어가 많이 섞여 있고 또 혈통까지 같은 유전인자가 많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렇다면 허황후의 도래는 차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는 추측을 할 수 있다. 당시 인도와 한 두 번의 교역이 아닌 인적(人的) 장기적 교류가 빈번했고 그 수도 상당했다고 볼 수 있다.

① 이배(耳杯)란 손잡이가 있는 잔 형태의 그릇을 말한다. 손잡이가 있었다는 점에 미루어 약이나 음료 등의 뜨거운 것을 담기 위한 용도임을 알 수 있다.
② 허황옥의 도래는 차가 전래된 역사적 근거의 하나가 될 수 있다. 허왕후가 인도에서 올때를 전후해 차가 수입되었다는 주장이 있기 때문이다.
③ 백제는 일본과의 교류가 특히 많았고 일본인들은 당시 우리 문화를 수입하려고 힘썼다. 우리나라의 음료문화도 이때 벌써 일본의 왕실이나 귀족 사이에 전해졌다고 본다.
④ 청자저다옹(靑瓷 貯茶瓮)은 후한의 초기 유물로 중국 절강성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⑤ 중국도 이전부터 차를 마셨으나 불교가 전래되면서 선가(禪家)의 필수적 음료로 등장해 확산되었다.
⑥ 화타는 후한 때의 명의로 그가 지는 <식론>에 “쓴 차를 많이 마시면 생각에 도움을 준다(苦茶久食 益意思)”라고 적혀 있다.

<한국>
3 고구려 국내성 천도
4 원시4년명반(元始四年銘盤)과 이배(耳杯) 제작 ①
26 구다국왕(句茶國王) 고구려 투항
48 허왕옥의 도래 ②
52 건무칠(建武漆) 이배 제작
57 신라, 왜(倭)와 사신이 오가다
68 영평명(永平銘) 이배

121 왜구의 침입

191 을파소(乙巴素)가 고구려 국상(國相)이 됨

247 고구려 평양천도

283 백제, 봉의공녀(縫衣工女) 일본에 파견
284 아직기가 일본 태자의 스승이 됨 ③
285 왕인의 도일(度日), 유교 경전 전달

<중국>
8 신(新)의 건국(왕망)
25 후한 건국(유수)
@ 청자저다옹(靑瓷 貯茶瓮) 발굴 (절강성) ④

67 중국에 불교 전래 ⑤
82 반고의 <한서(漢書)
105 채륜의 제지법(製紙法)>

184 황건적의 난
200 화타의 <식론(食論)> ⑥
216 위(魏)의 건국
221 촉한 건국
222 오의 건국

<일본>

<서양 기타>
30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

286 동서로마 분리

유건집 |
2004-10-26 오전 9:55: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4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