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5.3 (음)
> > 캠페인 > 나눔
오빠·누나, 내년에도 함께 캠프해요
연꽃·극락마을 어린이 초청 경주 나들이
“이야, 공격, 덤벼라!!” “으앙! 승윤이가 밀었어요.”
8월 17일 경주월드 수영장에는 30명의 어린이들이 30명의 대학생 형, 누나를 만나 신이 났다. 예천 연꽃마을(원장 정안) 어린이 15명과 극락마을(원장 서경석) 정신지체 장애어린이 15명이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문화대 학생회 형·누나들의 초대를 받고 2박 3일간의 ‘우리 경주가자’ 캠프에 온 것이다.

연꽃마을 어린이들에겐 이런 기회가 매우 드물다. 더군다나 극락마을 정신지체장애 아이들은 더욱 쉽지 않다. 그렇기에 이번에 불교문화대 형·누나들과의 나들이는 특별한 시간이었다.

16일부터 시작된 캠프. 첫날은 불국사를 참배한 데 이어, 17일 드디어 고대하던 경주월드 수영장에 도착했다.

승윤이는 머리에 쓰고 있는 수영모자와 수영복을 가리키며 자랑하고 나섰고, 덩치만 컷지 여전히 어린아이의 지능을 가진 ‘천진불’ 성균이는 카메라를 들이대자 자연스러운 웃음과 승리의 ‘V’자를 표시하며 멋진 포즈를 취했다. 연꽃마을 막둥이 상훈(4)이는 누나들이 많아 마냥 좋기만 하다. 물에 풀쩍 뛰어들어 잠수도 해 보고 이리저리 물속에서 몸을 굴리던 아이들이 형과 누나들을 못살게(?) 군다. 한꺼번에 몰려들어 물을 뿌리거나 밀어뜨려 물에 빠뜨리고는 해맑은 웃음을 내보인다.

이번 행사기간 동생들과 함께하기 위해 나선 동국대 불교문화대 학생 30명은 아이들과 함께 놀면서도 긴장을 늦추지 못한다. 극락마을 지체장애자 아이들이 15명이나 되다보니 아이들의 행동 하나하나 그냥 지나쳐서는 안되는 것.

유달리 성장이 늦고 몸이 약한 형준(18)이는 표현력도 부족해 말을 하지 못하기에 행동을 보고 마음을 읽어야 하며, 언제나 부산한 혜인(16)이는 통제력이 없어 유심히 살펴야 한다.

“형! 쉬~”
아이들 한마디에 형은 얼른 화장실로 데려가고, 넘어진 아이 일으켜 세우고, 물 먹고 우는 아이 달래줬다. 수영장이 두려워 한 켠에 우두커니 있는 극락마을 친구들에게 수영장 물과 자연스럽게 친해지도록 도와주는 역할도 중요했다.
불교문화대 학생회 부회장 장지향(불교아동학과 4년) 양은 “이번 행사를 통해 아이들의 천진함과 순수함에 오히려 많이 배웠다”고 말했다.


학생회장 황의모 씨

“후원 줄어 힘들었지만 포기할 수 없었죠”

“연꽃마을과의 인연은 1993년부터 이어진 것으로, 보통 가정의 어린이보다 기회가 적은 동생들에게 형 누나로써 캠프 기회를 만들어주고 싶어 함께 나왔을 뿐 특별한 행사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8월 16일부터 18일까 연꽃마을 어린이를 초청하여 ‘우리 경주 가자’ 행사를 펼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문화대 학생회장 황의모(불교학과 3년) 군은 이렇게 취지를 밝혔다.

황 군은 이번 행사를 기획하면서 어느 때보다 재정적인 문제가 제일 어려웠다고 토로했다. 경제불황이다보니 평소에 후원을 해주던 단체들이 후원을 중단한 것이다. 학생들 사이에서 올해는 행사를 포기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그러나 황 군은 “1년을 아니 평생을 간직하고 갈 아이들의 추억과 희망을 생각하면 결코 포기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어려움을 핑계로 조금이나마 사회로 회향했던 자비실천이 가장 먼저 사라지는 사실이 안타깝다”는 황 군은 “아무리 어려워도 함께 나눴던 사랑까지 줄여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배지선 기자 | jjsun@buddhapia.com
2004-08-25 오후 2:49: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5.29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