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7 (음)
> 문화 > 학술·문화재
'한국 불교사에서 여성의 역할과 성취'
사진=박재완 기자
한국 불교사에서 여성의 역할은 어떠했을까?
‘동아시아의 불교 전통에서 본 한국 비구니의 수행과 삶’(5월 20~22일 안양 한마음선원 본원)에 관한 국제학술대회의 제1 분과에서는 신라에서 고려, 조선을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불교사에서 나타난 비구니와 여성 재가불자들의 활동을 살폈다.

처음 발표한 동국대 김영태 명예교수는 ‘신라의 비구니 승직 도유나랑’에서 한국 불교사에서 유일하게 등장하는 비구니 승직(僧職) ‘도유나랑’에 대해 발표했다. 김 교수는 <삼국사기>에 단 한줄 언급돼 있는 ‘도유나랑 일인 아니(都唯那娘 一人 阿尼)’를 통해 “‘도유나랑’은 신라시대 비구니 승직이며 ‘아니’는 법명이 아니라 당시 신라 비구니 승단의 어머니같은 비구니를 존경해 일컫는 호칭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고려시대 비구니의 활동과 진각국사 혜심의 여성성불론’을 발표한 이화여대 김영미 교수는 비구니의 이름이 기록된 가장 이른 시기의 비문인 진각국사 혜심의 비문을 통해 고려시대 혜심의 여성관을 살폈다. 김 교수는 “혜심은 비구니 제자들에게 조주(趙州)의 방하착(放下着)과 무자(無字) 화두를 주며, 이 화두를 항상 주며 일상에서 공부하라고 가르쳤다”며 “혜심은 오애설(五礙
사진=박재완 기자
設)이나 변성남자설(變成男子說)의 입장을 따르지 않고, 간화선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여성들도 지금 당장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고 밝혔다.

또 혜선 스님(동국대학교 선학과 박사과정)은 ‘대행 스님의 수행관에 대하여’에서 대행 스님의 수행관을 ‘주인공 관법’이라 규정했다. 그리고 이 수행관은 생활선, 실천성, 대중성, 개방성, 접근 용이성 등의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1분과에서는 이외에도 ‘고려왕실의 여인들과 불교 : 인예왕후와 천태종 설립을 중심으로’(서울대 최병헌 교수), ‘중국 원나라에 거주했던 고려 여인들의 불교활동에 대하여’(서울대 박사과정 토니노 푸지오니), ‘침묵하는 주변적 존재로서의 조선시대 비구니들’(호주 그리피스 대학교 존 죠르겐센 교수) 등이 발표됐다.

22일까지 계속되는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제도의 변화와 한국 비구니 승가의 설립 △동아시아에서 여성종교 수행의 법맥과 전통 △창조적 종교 표현과 새로운 가르침의 탄생 △한국여성의 불교 신앙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등을 주제로 발표가 이어진다.
오유진 기자 | e_exist@buddhapia.com
2004-05-20 오후 6:01:00
 
한마디
불교가 석가모니 부처님으로부터 창시하자마자 여성들의 출가가 허용되었듯이 만인 평등의 불교계에서 아직도 여성출가자 또는 여성불자를 폄하 내지는 차별하는 제반 계율이나 인재등용상의 불이익점이 있다는 것은 도저히 이를 묵과 할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실명을 들어 거론해서 좀 죄송하오나 한국에서 설법에서나 포교면에서나 어느 누가 감히 한마음 선원 대행스님 같으신 분의 법력을 따를 수 있는가? 모든 여성 차별조항이 있다면 지금 당장 철폐하여야 한다. 이를 우물주물 하는 것은 실력없는 무식 중들의 자기 밥그릇 달아날것 같은 걱정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 그리하여 불교계도 모든 것 포교의 성과로서 그 잣대를 만들어야 한다. 오래도록 중노릇하면서 포교 몇명 제대로 못한다면 그가 어찌 부처님의 제자라고 할 수 있겠는가? 그들은 부처님께서 성도하시자마자 제일 먼저 하신것이 5비구에게 전도한 사실도 모른단 말인가? 그런 사람은 자칭 도인은 될 수 있을지언정 진정 불제자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이제 불교계에도 포교 CEO가 많이 나와야 한다. 그래야만 한국불교가 그나마도 명맥을 유지 할 수 있을 것이다.(본인은 거사임)
(2004-05-21 오후 4:51:11)
15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