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26 (음)
> 종합 > 종단
조계사 주지 교체 논란, 관련 기관 '어수선'
총무원, 부ㆍ국장 일괄 사표로 종무행정 차질 '우려'
최근 조계사 주지 교체 논란을 둘러싸고 조계종 총무원과 조계사의 입장차이가 표면화되면서 종무행정은 물론 봉축 행사 일정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4월 24일 저녁 무렵, 조계사 일부 종무원들에 의해 조계종 중앙종무기관 신 청사인 한국불교역사기념관의 외벽 유리창 3장이 파손되는 일이 발생했다. 한 목격자에 의하면, "조계사 일부 종무원들이 술을 마신 상태로 몰려와 역사문화기념관 유리창을 부수었다"고 말했다. 현재 깨진 유리창은 부처님오신날 봉축 포스터로 모두 가려놓은 상태다.

○조계종 총무원=부ㆍ국장 스님 등 집행부가 4월 27일 총무원장 법장 스님에게 일괄 사표를 제출함에 따라 종무행정의 집중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시각이 있다. 따라서 불교계 일각에서는 부처님오신날이 채 한달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중앙종무기관이 봉축 관련 행사기획 및 시행 등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은 집행부 부ㆍ국장 스님들의 출근 현황에서도 확인된다. 29일 현재 스리랑카 조계종 마을 완공 참석차 4월 28일 출국한 사서실장, 사회부장, 사회국장 등 총 3명을 제외한 집행부 부ㆍ국장 절반이상이 사무실을 지키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총무원의 종무행정은 총무원장 법장 스님이 스리랑카 방문 이후인 5월 3일까지 아무래도 겉돌지 않겠냐는 반응이 일각에서 조심스레 나오고 있는 것이다.

조계종 총무원의 한 관계자는 “총무원장 스님 취임 1주년을 맞아 새롭게 변모한다는 취지에서 부국장 스님들이 일괄 사표를 제출했다. 하지만 이 때문에 앞으로 봉축행사 준비와 관련된 종무행정은 당분간 차질이 빚어 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조계사=전체적으로 어수선한 분위기가 계속되면서 봉축 행사 전반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동자승 30일간의 출가’행사. 당초 4월 28일 오전 9시로 예정됐던 행자 입방식이 연기됐고, 29일 삭발식과 수계식이 5월 3일로 늦춰졌다.

조계사 한 관계자는 “아무래도 봉축 일정이 당분간 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여전히 초파일 이후 주지 해임과 재논의라는 입장차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어 봉축 행사 준비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종무원들의 입단속도 주지 해임 논란 이후, 한층 강화됐다.

조계사 한 관계자는 “주지 교체 건과 관련해 어떤 입장 표명도 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 묻고 싶은 것이 있으면 홍보담당자를 통해 취재 의뢰를 해달라”고 전했다.
김철우 기자 | ingan@buddhapia.com |
2004-04-29 오후 3:33:00
 
한마디
물질위주로 흐르고 있는 사찰을 보면서, 가슴에 佛法 뿐인 사람도 이제는, 절에 가지 말아야지 --했는데 또 무슨 일이 일어 나려는 것인지 ----한심하고 , 기가 막혀 , 말도 나오지 않습니다. 불교도님, 스마일님의 불심에서 우러나 , 주신 글에 깊이 감사 드리며 , 산중에서 오로지 수행에만 전념하시어 , 큰 힘을 얻으신 그리고 시퍼런 칼날같이 正法의 정신이 살아있는 스님들과 우리 재가 불자님들의 이제는 ,그렇게는 안된다라며 부릎뜬 무서운 두눈을 한 순간도 잊지 말아야 할 것 입니다. 이제는 그렇게는 안됩니다. 그리고 생각 하십시요. 空으로 흩어지는 죽음 앞에서,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佛法을 안 者로서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
(2004-05-03 오후 4:47:26)
15
능력있는 사람이 우선되는 종단이 되어야 합니다. 실천승가회와 같은 단체 힘으로 무엇을 하겠다는 생각은 버려야 합니다. 모두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고 전파하기 위해 출가하고 이제와서 자신의 사리사욕에 눈이 어두운 승려들은 반성하세요. 무엇이 진정으로 불교를 위하는 것인지를 생각하시면 안돨까요. 불교가 없으면 당신들의 욕심도 물거품이 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이 승가의 일원이라는 것은 부끄러운 일입니다. 능력있는 사람을 시기하고 질투하는 승려는 승적박탈시켜야 합니다. 승가의 화합을 깨는 행위는 가장 용납할 수 없는 사항임을 계율이 발하고 있지 않습니까. 서로 용기를 주고 화합하는 승가의 모습을 실천하는 것이 한국불교가 이 땅에서 영원히 중교지도자로서의 모습을 지킬 수 있습니다. 모두 자중하시고 대의를 위해 자신들의 욕심을 버리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실천승가회는 승가의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고 무슨 정치집단인양 행동하는 것을 삼가해야 한다고 봅니다. 본인들이 민주화를 위해 싸워왔으면 민주화적인 승가가 되도록 노력하는 것도 의무입니다. 민주화를 위해 싸웠다는 명목으로 이익을 독점하려는 사고는 잘못입니다. 무엇이 진정 실천승가회를 위하는 길인지 심사숙고해서 처신하시기 바랍니다.
(2004-04-30 오전 11:01:39)
15
아무래도 충무원장 이하 다 일괄 사직하는 것이 좋겠군. 시끄러워지기 전에 모두 사직하고 본래 스님의 자리로 돌아가는 것이 가장 수승한 일일 것이다. 불교도의 입장에서 보면 스님들이 원망스러운 때가 한두번이 아니다. 조계사 주지스님도 총무원장스님도 기타 간부직을 맞고 있는 스님들도 모두 사표내고 출가승 본연의 자리로 돌아갈 것을 강력히 종용한다.
(2004-04-29 오후 6:37:44)
15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9.1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