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안(종회의원, 실천불교전국승가회 부의장) 스님, 성태용 교수(건국대, 우리는선우 이사장), 위영란 편집부국장(현대불교신문) 등이 자유토론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다음은 주요 의제 및 세부 항목.
첫번째, 1994년 종단개혁의 의미와 평가(성과 및 한계)
① 종단개혁의 역사적 의미
② 종합적(개괄적) 평가
③ 개혁종단의 제도적 측면
- 62년 통합종단 출범 이후 전면적인 종헌, 종법 개정, 관련 법령 변화 등
- 3원체제 확립, 중앙과 지방의 균형된 인사 및 권한의 조화
- 예산 회계법 도입(분담금 납부 등...)
- 사설 사암 문제 등
- 포교, 교육, 복지 영역
④ 대사회적 불교 위상 측면
두 번째, 94년 종단개혁 후 10년에 대한 회고와 반성
① 3원(총무원, 포교원, 교육원) 행정 및 기능 평가
② 중앙종회 역할 평가와 현재 상태 진단
③ 종단개혁이후 사찰(본말사)의 변화 진단
④ 종단의 수행, 교육, 복지 환경 및 대사회적 활동 진단 및 평가
⑤ 98년 종단사태의 원인 분석 및 진단
⑥ 기타
세 번째, 종단개혁의 과제와 방향
① 종단개혁 관점에서 본 제 31대 총무원 1주년에 대한 평가
② 최근 제기되고 있는 사면문제와 겸직해제 주장 등에 대한 진단
③ 미래지향적 종단개혁의 과제 및 방향 제시(종합적 입장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