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고도(古都) 경주에는 천년 고찰 불국사가 있고, 그곳에 다보탑이 있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다. 하지만 실제 다보탑을 보고 그 안에 담긴 뜻과 아름다움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지난해 제작 방영된 대구MBC 창사 40주년 기념 특별 다큐멘터리 ‘다보탑’을 책으로 묶은 <다보탑, 부처의 자비와 신라 장인의 숨결>은 바로 이런 의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담겨 있다. 국내는 물론 전세계 어디에서도 그 유형을 찾기 어려운 다보탑이 언제, 어떤 이유에서 만들어졌으며 탑에 담긴 미학의 근원은 무엇인지를 살핀다.
창사 39주년 기념 특별 다큐멘터리 ‘우리조경’도 책으로 펴냈다. <안압지, 우리 정원의 원류를 찾아서>는 통일신라의 대표적인 정원이자 당대 최고의 기술과 예술성이 조화를 이룬 경주 안압지에서 우리 정원의 원류를 찾는다. 일본 고대 정원의 모델이 되기도 한 안압지의 조성 배경과 근본 미학, 그리고 여기에 적용된 과학 기술과 예술적 기교를 설명한다.
<다보탑>, <안압지>
대구MBC
이른아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