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수자원공사는 인각사에서 1.5km 떨어진 곳에 높이 50m, 길이 340m 규모의 화북댐을 2008년 완공을 목표로 올 상반기에 착공할 예정이다. 댐이 착공되면 습도 상승과 안개로 인한 사찰 목조건물 부식ㆍ훼손과 공사중 중장비 및 공사 트럭이 인각사 바로 옆 도로를 통과함으로써 발생할 먼지와 소음 진동의 피해가 예상되는 등 인각사 보존에 비상등이 켜졌다.
인각사 주지 상인 스님에 따르면 스님은 2002년 하반기 화북댐 건설 사업단이 군위군에 사무소를 개소할 무렵 사업단장과의 면담을 통해 인각사 주변조경사업 약속과 주변사업을 통해 위락시설이 아닌 민족 성지라는 차원에서 인각사를 공조하겠다는 확답을 받고 이를 위한 예산 책정을 확인했다고 한다.
그러나 4-5개월이 지난 2003년 초 수자원공사는 완전히 태도를 바꿔 인각사에 책정된 예산을 반으로 줄이고 댐 건설로 인해 벌어질 인각사의 심각한 훼손에 대한 구체적 대안 제시를 보류한 채 인각사에는 공사차량이 다니지 않을 것이라는 이해 안되는 답변만을 늘어놓은 채 댐 건설을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는 것이다.
수자원공사는 인각사를 제외시킨 채 입찰대안설명회와 상류 하류 부분의 주변사업 설계를 하고 댐 건설을 위한 마무리 단계에 들어가 있는 상태이다. 이 시점에서도 인각사 훼손에 대한 중장기적 어떤 대안도 없는 실정이다.
![]() | ![]() | |||
| ||||
![]() | ![]() |
또 불교환경연대 등 8개 단체가 참여한 화북댐 건설 인각사 대책위가 구성됐고, 댐건설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2월 28일에 조계종 10교구본사 종무회의가 인각사에서 열릴 예정이다.
인각사는 최근 한국수자원공사측에 사찰 보존을 위한 중장기적 대책이 필요하고 댐 주변 정비 사업도 인각사 복원계획에 걸맞게 이뤄져야 한다는 내용의 진정서를 보냈다. 2월 13일에는 군위군민에게 댐 건설 반대를 호소하는 ‘군민들께 드리는 말씀’이란 유인물을 배포했다.
다음은 유인물 전문.
군민들께 드리는 말씀
**화북댐 건설을 반대합시다.
**화북댐이 건설되면 삼국유사의 민족성지 인각사의 보존에 심각한 위기가 옵니다. 인각사는 민족의 주체성을 고증하는 사적지로서 보존ㆍ전승되어야 할 소중한 문화 유산입니다.
*사적 374호로 지정된 인각사는 신라 선덕왕 11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하였고, 경내에 보물 428호인 보각국사 정조지탑과 비가 있습니다.
*인각사는 보각국사 일연선사가 우리 민족의 개국신화인 단국신화를 비롯한 문화와 사상, 불교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집대성한 삼국유사를 저술한 곳입니다. 삼국유사는 우리 민족의 총체적인 문화유산의 원천적 보고로 민족 고대사에 있어 유일한 연구 사료입니다.
*인각사 주변 지역은 수려한 자연경관을 그대로 간직해 오고 있으며, 천연기념물 330호인 ‘수달’들이 집중서식하고 있는 청정지역입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사찰로부터 불과 약 1.5km떨어진 곳에 화북댐 건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만약 예정대로 댐이 건설된다면 주변의 생태계 파괴는 물론 인각사의 본래 가치가 상실됩니다.
*댐 건설은 대형호수가 조성되어 주변지역의 습도상승, 안개의 농도와 발생빈도를 높여 목조건물인 인각사의 부식과 훼손이 더욱 과속화 될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댐 건설에 따른 공사 관련 대형차량이 수 없이 통행해야 하는 도로는 인각사 바로 옆을 통과함으로서, 소음 및 진동 등으로 인한 사찰의 훼손이 불가피 할 것입니다.
한국 수자원공사가 아래의 요구사항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 한 『인각사댐 건설 반대 추진위원회』는 댐 건설에 절대로 동의 할 수 없습니다.
1. 한국 수자원공사는 인각사 민족성역화 사업에 걸맞게 주변조성 및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2. 댐 건설로 습도 상승, 안개로 인한 인각사의 훼손 및 부식 등에 대한 중ㆍ장기적인 대책이 선행되어야 한다.
3. 인각사 주변지역 개발사업은 한국수자원 공사와 인각사 공동사업으로서 예산집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4. 댐 주변지역 사업의 심의위원으로 인각사 주지를 당영직으로 위촉해야 한다.
5. 댐 공사 우회 진입도로 개설 등 공사 차량으로 인한 소음, 진동 피해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6. 댐 건설로 생태계 변화는 물론 주민들에게 호흡기 질환 같은 새롭게 빈발하는 병에 대한 대책을 발표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