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토론회에서 박선경 우이령보존회 사무국장은 ‘북한산 국립공원ㆍ수락산ㆍ불암산 관통도로 반대활동의 성과와 반성’ 주제 발표에서 “노선검토위원회와 노선재검토위원회가 객관적인 검토를 하기에는 활동 기간이 너무 짧았으며 대안노선에 대한 논의는 일체 배제되고 진행됐다”며 “일부 긍적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결국 이러한 과정들이 시간 끌기에 지나지 않았으며 공사지연에 따라 늘어나는 마이너스적 경제수치로 압박하려는 정부의 의도에 매몰된 결과를 가져오게 됐다”고 평가했다.
박 사무국장은 조계종과 정부가 합의한 개선과제와 관련 “여기에는 국립공원 보전에 대한 내용이 들어있지 않다”며 “이러한 일련의 모든 과정들이 갖는 결정적 오류는 환경단체가 원천적으로 배제된 채 진행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지 운동 과정에서 불교환경연대의 위상과 활동에 대해서는 “불교환경연대가 독자적인 행보를 하지 못했으며 조계종도 시민단체도 아닌 중간자적 입장”이었다며 “사안별 대응에 치중하다보니 근본 해결에서 멀어질 수 있는 문제, 일시적 대응과 전문성 부족, 또 연대활동의 느슨한 결합 등을 다시 점검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 | ![]() | ||
| |||
![]() | ![]() |
박 사무국장은 또 새로운 불교환경운동을 위해 △대안운동 전개 △지역ㆍ지방자치운동 △과정을 강조하는 운동 △비폭력 운동 △공경ㆍ섬김의 운동 △욕구와 당위의 통일 △자기변화와 사회변화의 통일 등을 준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김대원 전국불교산악인회 사무총장은 저지 운동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관련 “이제 불교환경운동은 시민단체의 성격을 띠고 재가불자 위주로 갈 것인지 아니면 승속이 함께 갈 것인지 고민해야 할 시점에 왔다”고 주장했다.
김동민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는 “이번 일을 계기로 불교계 내 환경보전운동을 더욱 강력하게 전개해 나가야 한다”며 사찰 내 반환경적 불사 등을 경계했다. 또 “올해 조직을 재정비해 조직적이고 과학적인 운동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