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총무원장 법장 스님께서 승가교육을 ‘선교육 후득도’체계로 바꾸겠다는 뜻을 밝혔다. 충분한 자질을 갖추도록 하는 교육과정을 선행시키고, 그런 다음에 비구(니)계를 받도록 하는 체계로 전환할 것을 분명히 한 것이다. 높은 자질의 성직자를 보유하여 새로운 기풍을 진작시키겠다는 조계종단의 의지가 표명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많은 문제를 안고 있고, 또 그만큼 수많은 개선책이 제시되어온 승가교육의 체계를 혁신하는 새로운 출발이 될 수도 있으리라 기대하게 된다. 또한 이번의 개혁이 피상적인 제도의 개선에 그치지 말고 승가 교육체계를 전면적으로 검코하고 근본적 해결책을 내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는 요청도 뒤따를 수 밖에 없다.
그런 시각에서 본다면 ‘선득도 후교육’이냐 ‘선교육 후득도’이냐가 승가교육의 근본적인 문제가 아닐 수도 있다. 피교육자인 스님들이 절실하게 필요로 하고, 또 불교 다방면의 요구에 충실하게 부응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내용들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단순히 선후를 뒤바꾸는 것으로 승가교육이 혁신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교육내용과 현대적인 요구를 어떻게 접목시키느냐에 대한 근본적인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중복되는 교과과정을 통일적으로 조정하여 가장 효과적이고도 밀도 있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교과과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스님들의 활동할 영역을 좀더 세분화하고 그 영역에 맞는 충실한 교육 내용을 개발해야 한다. 나아가 소규모로 산재되어 있는 교육 기관을 통폐합하여 좀더 대규모의 교육장을 확보하고, 그 교육장의 시설과 교수진을 대폭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승가 교육이야말로 가장 높은 수준의 교육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교육과정을 거친 수준 높은 스님들이 배출되어야 한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나아가 스님들이 그러한 교육을 받는다는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어야만 승가의 권위가 높아지고, 또 질 높은 피교육자(스님)를 확보할 수 있다.
불교의 중핵이라 할 수 있는 스님들의 자질과 권위를 불교 신도들 뿐 아니라 사회 전반이 높이 인정하는 것이 불교 중흥의 초석이라는 것을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종단의 총력을 모아 장기적인 계획 아래 불교계 안에서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그 권위를 인정받을 수 있는 그러한 교육기관과 교육체계를 갖추기를 촉구한다.
성태용 교수(건국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