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업실 여기 저기에 무질서하게 흩어진 플라스틱, 철사, 나무판, 천 조각들. 그러나 고철이 용광로를 거쳐 펄펄 끓는 쇳물로 다시 태어나듯, 문 교수의 손끝을 거친 사물들은 무질서의 극치에서 새롭게 태어나고 있었다. 심지어 화장실 문에 붙은 ‘마음을 버리는 그릇’이란 글귀처럼 행동 하나하나 마저 예술 창작으로 거듭 나는 듯 했다.
사물들은 어떻게 예술적인 생명을 얻는가? 문범강 교수는 여기에 대답하듯, 창작 활동을 ‘나’를 찾는 과정에 비유했다.
“작품 활동을 하며 ‘나는 과연 누구인가’ 하고 스스로 묻습니다. 어머니 뱃속에서 나고 자란 내 경험만으로 이런 일을 하는 것 같지 않습니다. 내가 태어나기 이전의 어떤 존재, 내가 죽은 이후의 어떤 존재, 그것은 어떤 정신적인 존재이겠죠. 이런 것들이 내 작품을 만드는 것 같습니다. 그런 나를 발견하고 그 ‘나’로 하여금 스스로를 드러내게 하는 거죠.”
| ||||
그의 ‘참나’를 발견하겠다는 갈망은 계속해서 새로운 이미지와 의미를 만들어낸다. 독경을 하기 위해 입을 벌린 사람과 입을 벌리고 죽은 물고기의 이미지를 겹치거나, 속이 비었다는 공통점을 이용한 유리병을 문 물고기의 그림은 현재 기억의 저편을 탐구하는 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박스에 혀를 대고 있는 사람의 모습은 시각적인 대상인 박스의 맛을 본다는 의미를 부여하여 고정관념을 깨고 새롭게 대상을 인식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중국인 옷을 입은 늑대 얼굴의 교황 그림이나 푸른색 늑대와 박제된 예수의 이미지를 병치한 그림들은 ‘성스러움’ 이면의 ‘상스러움’이란 메타포어를 가진 작품들이다.
이런 작품경향 만큼이나 문범강 교수의 창작방법도 변화무쌍하다.
“처음에는 판화를 했어요. 한국에 생소한 에칭작업을 하느라 시간 가는 줄 몰랐죠. 하지만 판화로는 전시공간 하나 얻을 수 없다는 사실을 알고 다시 회화를 배웠어요. 이제는 회화뿐만 아니라 퍼포먼스까지 하고 있습니다.”
‘나’라고 할 것이 없기에 예술이랄 것도 없다. 끊임없이 나와 대상을 탐구하고 변형시키는 작업이 바로 그의 작품세계인 것이다. 그렇다면 불교는 그 작품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그는 “불교가 맹목적인 믿음만을 강조한다면 나는 불교적인 작가가 아니다”고 말한다. 불교적 무늬나 색감, 이야기 소재만을 이용한다고 불교미술이 되지 않는 것처럼 참된 미술은 “바로 지금 이 순간에 깨어있는 것, 나라고, 나를 구성한다고 믿어왔던 것에서 떠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 ||||
그는 불교가 자신이 해온 작업들을 가장 잘 설명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어느 순간 그가 해온 작업들이 불교라는 거대한 바다 속에서 헤엄치는 일임을 알게 됐다. 불교는 마치 모든 생명체를 만들고 보호하는 바다처럼 넓기만 했다.
서강대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80년 미국 메릴랜드 대학원에서 뒤늦게 미술공부를 시작한 문범강 교수. 현대 한국 화단의 거장인 천경자 화백의 사위인 문 교수의 작품 곳곳에 불교 사상이 녹아있게 된 결정적 계기는 85년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열린 한마음선원 법회에서 대행 스님을 친견하면서부터다.
“어릴 때 어머니를 따라 절에 다니는 것이 전부였지 불교가 무엇인지 잘 몰랐죠. 그러다가 만난 주인공에게 모든 것을 맡기고 관하라는 큰스님의 가르침이 제 창작 활동을 자극하는 기폭제가 되었습니다.”
그 뒤부터 문 교수는 대행 스님의 법문과 책을 구입해 탐독하기 시작했고 조지타운대 내의 명상클럽을 조직해 미국 학생들의 참선을 지도하며 포교활동을 펼치는 열의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문 교수는 “미국인들이 아직은 한국불교를 어려워합니다. 명상클럽 회원들에게 인간이란 고정 관념을 깨기 위해 구더기를 보여준 일이 오해를 사기도 했다”며 “한국불교를 알리기 위해서는 미국인들의 사고 방식을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한국불교를 알릴 좋은 번역 서적이 많이 나와야한다”고 강조했다.
뉴욕=강유신 특파원
<문범강 교수는?>
1954년 대구 출생.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졸업.
80년 도미. 82년 캘리포니아 컬리지 오브 아츠 앤 크래프츠에서 드로잉 전공.
메릴랜드 대학원에서 판화 전공 졸업.
Kerr 갤러리(뉴욕, 88년)ㆍ샘터화랑(97년)ㆍSpace Untitled 갤러리(뉴욕, 97년) 등에서 8회 개인적 개최. 마틴 루터킹 기념도서관 갤러리전(84년)ㆍ몽고메리대학 국제판화전(91년). 미국미술의 오늘전(플로리다 미술관), 광주비엔날레(95년), 북미판화공모전(90년).
국제판화공모전 1등상, 브랜다이즈미술전 판화부문 최고상(83년) 등 수상.
현 워싱턴 조지타운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