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총무원은 북한산 관통될 경우 제2 부안핵폐기장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며 정부에 강력하게 경고했다.
다음은 조계종 기획실장 현고 스님과 일문 일답
▲종단의 태도변화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선 대통령이 선거 공약에 대해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구체적인 입장과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이와 관련 공약을 이행할 것인지 불이행할 것인지 후속 조치를 취해야 한다. 북한산 자체도 중요하지만 2천만 불자들을 상대로 두 번의 약속은 상대의 권위와 인격을 존중한 가운데 마무리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기자회견을 하는 것이다.
▲정부의 부적절한 활동은?
→언론보도에서 나타났듯 불교계 때문에 결과적으로 5400억원이 낭비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건설교통부가 주장한 내용이고 국정홍보처가 재생산했다. 이것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또 선거 공약에 대해 구체적으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보도되고 있으나 현재도 이와 관련해 (정부측에서) 내용을 잘 알고 있고 설명하는 사람이 있다.
▲정부에 바라는 구체적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한마디로 말하면 선거공약을 잘 이행하는 것이다. 공약을 이행할 수 없는 상황이면 종단의 이해와 설득을 구하고 그에 상응하는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 공약 1차적 약속 대상은 조계종이다. (정부측에서) 결정적으로 왜곡한 것은 조계종이 공론조사를 거부한 적이 없다는 사실이다. 공론조사에 응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공문서로도 답했다.
공론조사를 하기 위해선 비교토론을 할 수밖에 없는데 비교노선 데이터가 사실상 없다. 건설교통부가 가지고 있다는 것은 우회노선을 염두에 둔 자료가 아니다. 그것은 관통노선 우위를 정당화하기 위한 자료일 뿐이다. 그 자료의 허위성은 이미 노선재검토위원회에서 확인된 바 있다. 정부에서는 공론조사와 관련 비용과 시간 문제를 거론하며 거부하고 있다. 그러나 시민ㆍ환경단체는 빠르면 6개월 정도면 가능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정부가 기초자료 제공이나 조사를 거부하는 것은 결과를 두려워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 처하니 환경단체와 대오를 같이해 끝까지 거부할 것을 잘못했다고 후회된다.
▲범불교적 최후 결단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매우 강력할 것이다. 종단적 방침과 목표가 정해지면 전 종도가 일사불란하게 대응할 것이다.
▲최후 결단 사전 단계로 계획하고 있는 것이 있는가?
지금 공개하기는 어렵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부안 핵폐기장 사건에서 보는 종단적 저항도 배제할 수 없다.
▲기존 입장에서 변화가 있는가?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도 이뤄야 할 중요한 과제지만 사전환경영향성 평가는 의무적으로 시행되지 않았다. 또한 역사문화적 가치 반영 또한 사전적 조치가 없었다.
▲공사를 강행한다면?
종정 스님도 종단 입장만 고수하지 말고 양보해 조속히 문제를 해결할 것을 말씀하셨다. 우리는 최소 명분으로 만족하려고 했다. 그 부분을 충실하게 접근해 오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무총리를 비롯해 국정홍보처, 대통령까지 부적절한 대응을 했다. 이것은 우리보고 가만히 있으라고 하지 않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