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27 (음)
> 종합 > 종단
덕암 대종사 다비, 전통의식으로 재현
11월 22일 열반한 태고종 16세 종정 덕암 대종사의 다비의식이 해방 이후 최초로 전통다비의식에 따라 옛 방식 그대로 재현된다.

덕암 대종사 장의위원회는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보존회와 불교의식을 연구하고 있는 봉원사 만춘스님의 고증, 불교사적 자료에 근거해 이번 덕암 대종사의 다비의식을 전통다비의식에 따라 옛 방식 그대로 재현하겠다고 11월 25일 밝혔다.

장의위원회는 “그동안 다비의식은 사회적인 변화와 자료고증의 미비, 전통불교의식 전수에 대한 소홀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상당부분 축소되거나 의식 순서가 바뀌고 변질돼 있다”고 말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목욕편의 착관(着冠)의식과 다비편의 하화(下火), 산골편의 습골(拾骨)·기골(起骨)의식 등.

장의위원회는 이번 덕암 대종사의 다비의식은 해방 이후 최초로 한국불교의 전통다비의식에 따라 옛 방식 그대로 재현된다는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사라졌던 의식까지 되찾아 생략하지 않고 전 과정을 재현함으로써 의식 자체만으로도 장엄함을 느끼게 하고 전통불교의식의 연구와 보존 등 불교사적인 측면에서도 귀중한 자리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박봉영 기자 | bypark@buddhapia.com |
2003-11-25 오후 5:04: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9.1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