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여성불자대회 추진위원회는 내년 6월 27일부터 7월 2일까지 서울에서 열리는 ‘제8차 세계여성불자대회(8th Sakyadhita Internatinal Conference on Buddhist Women)’의 각 분과별 논문초록을 모집한다.
‘여성불자의 교육과 수행 : 현재와 과거(Discipline and Practice of Buddhist Women : Present and Past)’를 주제하는 학술발표는 명상 수행과 일상 속의 수행, 참여불교 속의 수행, 불교수행과 여성의 이슈 등 6개 분과로 나누어 진행된다.
논문 초록은 영문으로 작성해 2004년 1월 15일까지 제출해야 하며, 준비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2월 1일까지 승인여부를 발표한다. 승인된 초록은 사캬디타 공식 웹사이트(www.seoul-sakyadhita.org)와 대회 8회 대회 논문집에 실리게 된다. 주제 논문은 15분간 영어로 발표해야 하며, 발표 주제는 아래와 같다.
한편, 추진위원회에서는 세계여성불자대회의 자원봉사자를 모집한다. 봉사 분야는 공항영접과 식사ㆍ숙박 준비, 통역(영어, 중국어, 일어), 사찰순례 안내 등이다.(02)766-9580
<학술발표 주제>
1) 명상 수행 (Meditation Practice)
불교 전통 속에서 지(止)와 관(觀)의 수행(Shamatha and Vipassana in the Buddhist Traditions)
동양과 서양에서의 불교 명상 수행(Buddhist Meditation Practices : Asia and the West)
자(慈)와 비(悲)를 향상시키는 수행(Practices for Developing Loving Kindness & Compassion)
일상 생활에서의 마음 성찰(Mindfulness in Daily Living)
명상과 노동(Meditation and Work)
종교 수행의 융합, 불교 수행의 융합(Combining Religious Practices, Combining Buddhist Practices)
공(空)에 대한 명상(Meditation on Emptiness)
2) 일상 속의 수행 (Everyday Practice)
의식을 통한 수행(Ritual Practices)
헌신적 행위를 통한 수행(Devotional Practices)
재가자와 출가자의 계율을 통한 수행(Practice of the Precepts : Lay and Monastic)
불법에서의 음식 : 음식 또는 부엌에서의 의식(Food of Dharma : Rituals at Meals & in the Kitchen)
법복에 관한 의식(Rituals of the Robes)
일상생활에서의 불법(Dharma in Everyday Life)
관계 속에서의 불법(Dharma in Relationships)
3) 수련, 교육, 훈련 (Discipline, Education & Training)
어린이 포교(Teaching Dharma to Children)
여성불자와 비구니의 교육과 수행(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Laywomen and Nuns)
여성불자와 수행 : 그 변천(Buddhist Women and Discipline Transitions)
전 세계를 통하여 불교의 역사적 전파(Historical Spread of Buddhism Throughout the World)
4) 참여불교 속의 수행 (Engaged Buddhist Practice)
사회 및 정치적 현실에서의 불교인의 대응(Buddhist Responses to Social and Political Realities)
갈등해결을 위한 불교인의 접근(Buddhist Approaches to Conflict Resolution)
다른 종교와 불교인들의 교류에 있어서의 이해(Interfaith Understanding, Inter-Buddhist Understanding)
여성과 어린이들의 인신 매매 : 불교인들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Trafficking in Women and Children : What Can Buddhists Do?)
사회적 변화에 대응한 NGO의 조직(NGOs : Organizing for Social Change)
상호의존에 관한 불교이론 : 환경보호에 있어서(Buddhist Theories of Interdependence : Protecting the Environment)
5) 불교 수행과 여성의 이슈들 (Buddhist Practice and Women's Issues)
불교에서의 해탈과 여성의 해탈(Buddhist Liberation, Women's Liberation)
불교평등주의는 가능한 것인가?(Is an Egalitarian Buddhism Possible?)
불교와 여성의 건강(Buddhism and Women's Health)
남녀평등주의자의 불교 교의에 대한 해석(Feminist Interpretations of Buddhist Doctrine)
여성이 과연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을까? 그것을 성취하기 위하여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Can Women Become Enlightened? How Do We Do It?)
6) 오늘날의 불교 (Buddhism for Today)
멀티미디어를 통한 기회(Multimedia Opportunities)
불확실성 시대에 있어서의 불교수행(Buddhist Practice in Uncertain Times)
현대의 불교수행(Contemporary Buddhist Practices)
오늘날의 불교 수행 : 전통과 적응("Buddhist Practice Today : Tradition and Adap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