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원 입장료와 문화재 관람료를 올리지 않기로 한 이유는 무엇인가
“어려운 경제여건에 태풍 피해까지 겹친 상황에서 조금이라도 국민들에게 부담을 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그렇다고 아예 올리지 않겠다는 것은 아니다. 물가인상분이나 문화재보호 측면에서 보면 현재로서도 인상요인은 충분하다. 따라서 여론을 충분히 수렴한 후 적절한 시기를 택해 인상안을 검토하게 될 것이다.
-지난 2000년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이 문화재관람료 반환소송을 내는 등 문화재관람료에 대해 곱지 않은 시각이 있는데….
“이제는 시민의식이 바뀌어야 한다. 우리나라처럼 문화재관람료가 싼 곳도 없다. 캐다다의 경우는 입장료가 우리 돈으로 8만원이나 된다. 유럽은 물론이고 일본이나 중국조차도 우리보다 비싸다. 그런데도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문화재관람료를 단순히 관람료 자체로만 인식하기 때문이다. 자연환경과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가꾸는 것은 국민의 당연한 도리며, 문화재관람료는 그런 차원에서 이해돼야 한다.
-공원 입장료 수입을 공원 내 불교문화유산의 보존ㆍ관리에 더 많이 투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어떻게 대처할 계획인가?
“국립공원 내 21개 사찰이 차지하는 규모는 약 2억 평에 달하고, 이것을 국가가 마음대로 쓰고 있다. 다시 말해 전체 국립공원 지역의 10% 이상에 해당하는 사찰 소유 토지가 무상으로 임대되고 있는 셈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문화재 보수비 명목으로 공원 입장료 수입의 10~30%를 불교계가 받고 있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부족하다. 장기적으로는 헌법소원을 해서라도 불교계의 권익을 되찾을 필요가 있다.
-조계종 신도증만 있으면 관람료를 내지 않아도 되는 현행 제도를 어떻게 생각하나?
“시민단체들은 오히려 신도들이 더 내야 하지 않느냐고 말하고 있는데, 개인적인 견해로는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현재 이 제도가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시간을 두고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관람료위원회의 활동계획을 밝혀 달라.
“관람료 입장객에 대해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관람료 사찰마다 안내책자를 비치하는 등의 소장 문화재 안내의 질적 향상과 포교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조체계를 강화해 수행환경 보존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과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