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에 1국 3과와 국립문화재연구소에 1실이 보강되는 등 문화재청 직제가 대폭 개편됐다.
이번 개편은 정부 방침에 의해 ‘문화재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대통령령) 및 ‘직제시행규칙’(문화관광부령)이 각각 개정된 데 따른 것으로, 문화재청에 건조물국, 문화재정보과, 근대문화재 및 동산문화재과와, 국립문화재연구소에 건조물연구실이 설치됐다.
문화재청(청장 노태섭)은 이번 직제개편을 통해 그간 조직의 미비나 인력의 부족으로 수행하지 못하였던 새로운 기능을 보강하고 인력을 재조정함으로써 ▲문화재 행정의 전문성 향상과 ▲문화재 정책기능을 강화하는데 역점을 두고 기능을 재조정하였다.
먼저 문화재 행정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건조물국에 사적과, 건조물과, 근대문화재과 등 건조물 문화재 중심의 기능을 집중 배치하는 한편 기존의 문화재기술과를 문화재정책과로 변경하고 문화재 기술인력을 각과에 전진 배치하여 건조물문화재 보수ㆍ복원공사를 집중 관리하도록 하였다.
또 총무과 등 지원부서를 제외한 과장이상 등 주요직위를 기술직ㆍ학예직 등 전문직 복수직위로 전환하는 등 5급이상 전체 직위의 66%(52직위중 34직위)를 복수직렬로 배치했다.
이는 목조ㆍ석조문화재의 보수정비 등 문화재의 특성에 입각하여 전문행정을 펼침으로써 문화재별 보존관리 체계를 전문화하고 문화재보수공사의 품질제고 및 담당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련됐다.
아울러 근대문화재과를 통해 근대이후 생성된 건축물이나 산업시설 등에 대한 조사와 목록을 유지하고 등록ㆍ관리하는 한편 하회마을 등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전통마을의 보존관리를 전담하도록 했다.
▲동산문화재과는 동산문화재와 사범단속업무를 분리, 동산문화재 보호관리를 위한 전문행정을 수행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공ㆍ사립 박물관 등 공공기관 및 단체 소장문화재 등 그간 인력 부족으로 수행하지 못했던 비지정 일반동산문화재를 조사하고 그 목록을 관리하는 한편 이들 문화재의 공개를 활성화하여 도난을 예방하는 적극적인 행정을 펼쳐 나갈 계획이다.
▲문화재정보과는 문화재 정보화와 국제교류 및 문화재 관련 제(諸)정보의 관리업무 등 문화재에 관한 대내ㆍ외적 정보교류를 담당한다. 앞으로 문화재정보과는 문화재 정보화와 함께 인터넷을 통한 교육ㆍ홍보 및 행정정보 공개를 확대해 문화재 행정의 투명성과 민원의 편리성 제고 등 전자정부를 통한 문화재 행정의 혁신을 추진한다. 
다음으로 문화재 정책기능을 강화를 위해
▲기존의 문화재기술과를 문화재정책과로 변경하여 문화재 정책의 종합기능을 담당토록 했다.
문화재정책과는 시민단체와의 협력 및 문화재의 활용에 관한 정책 수립ㆍ조정 등을  수행하도록 하는 한편, 문화재의 재해ㆍ재난에 관한 사항도 수행한다.
▲법무ㆍ감사기능을 분리하여 새로운 행정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제도의 도입과 기존제도의 개선을 기할 수 있도록 법제기능과 시ㆍ도 등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 행정에 대한 평가 등 감사기능을 강화했다.
문화재청은 지난 '99년 2국 7과의 1급 기관으로 승격되었으며, 이후 근대문화유산 등록제도ㆍ역사문화환경 보호 500m 이내 영향검토제도ㆍ문화재 수리공사 시공평가제도ㆍ문화재 도난사건을 예방하기 위한 공소시효제도 등 새로운 제도의 도입과 개선을 추진해 왔으나, 그간 조직과 인력의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번 직제개편으로 문화재청과 소속기관의 조직과 인력은 2국 9과 31소속기관 596명에서 3국 12과 636명으로 확대됐다.
부디엔스
         

























 
                          
						 











 한마디
  한마디








.gif)
.jpg)
 
                          
						   
							







 
  

 
 .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