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관광부가 종무실 폐지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불교 등 종교계가 반대입장을 보이고 이어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문화관광부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정부조직개편 방침에 따라 기획관리실, 종무실, 문화정책국, 예술국, 문화산업국, 관광국, 체육국, 청소년국 등으로 돼 있는 2실6국 체제에서 문화정책국과 예술국, 종무실을 통폐합해 문화정책실로 개편하는 2실4국 체제 방안을 검토중이다.
문광부 모철민 종무관은 “2실4국 체제가 될 경우 문화정책실장이 종무를 총괄하게 되고, 종무관이 종무를 전담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며 “8월중 개편안을 확정해 정부혁신위원회와 협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불교를 비롯한 종교계는 종무실이 폐지될 경우 종교의 사회적 기능이 크게 축소될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조계종 총무원 대변인 현고스님은 “종교정책에 대한 국가적 인식이 높아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무실을 폐지한다는 것은 정부의 종교정책이 거꾸로 가는 것”이라며 “종교 간의 통합이나 사이비 종교 문제 등을 폭넓게 다루기 위해서는 독립부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는 7월 29일 ‘종무실 폐지 추진을 반대한다’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하고 “종무실 폐지는 종교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처사”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천주교는 공식 입장을 밝히지는 않고 있지만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서울대교구 홍보실장 정웅모 신부는 “종무실이 폐지될 경우 종교가 담당하고 있는 사회적 역할이 축소되고 등한시 될 가능성이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불교 천주교 개신교 천도교 원불교 등 7개 종단으로 구성된 종교지도자협의회(의장 조계종 총무원장 법장스님, 이하 종지협)도 7월29일 모임을 갖고 “정부의 종교정책은 국민의 정신적 안정과 직결되는 사안으로 정부부처 조직개편과는 별개의 문제며, 오히려 종무실을 강화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이에 대해 문광부 행정인사담당관실 김대현 사무관은 “종무실이 폐지되더라도 종교행정과를 설치해 종교업무는 그대로 유지된다”며 “기존의 2개과가 1개과로 축소ㆍ조정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면 문제될 것이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