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27 (음)
> 종합 > 사회·NGO
'전쟁의 상처', 이제는 '평화'로 말한다.


"이곳 할머니들에게서 강인함을 느낍니다. 일본 정부에 10년 넘게 보상을 요구한 것도 그 만큼 할머니들이 강인했기에 가능했다고 봅니다. 이라크에서 할머니가 '지혜의 상징'인 것처럼, 평화의 몸짓으로 관용을 베푸는 할머니들에게 많은 것을 배우게 됐습니다."

전쟁의 아픔을 극복하는 길을 평화에서 찾았다는 압둘카림 씨. 고국으로 돌아가면 폐허가 된 이라크 땅에 작은 '평화의 도서관'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라크의 청년과 여성, 어린이들에게 평화의 소중함을 일깨워주고 싶다는 것이다.

"전쟁을 극복하고 나라를 어떻게 재건할 지 한국의 인상과 경험은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사회가 안정되면 전쟁의 아픔을 극복하고, 시민의 힘으로 복지 활동을 활발히 펼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3시간 동안의 방문. 언어는 중요하지 않았다. 눈빛만으로도 충분했다. 앞마당의 ‘못 다 핀 꽃’이라 불리는 소녀동상. 오늘만큼, 이라크인 압둘카림은 ‘활짝 핀 꽃’이 됐다.

경기도 광주=김철우 기자
2003-07-24 오전 9:06: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9.1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