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8 (음)
> 문화 > 학술·문화재
한역 팔리 티베트 등 세계 대장경 목록 한눈에
불교논리학인 인명학의 대가인 오스트리아 빈대학 불교ㆍ티베트학과 슈타인겔르너(사진 오른쪽) 주임교수로부터 이 대학에서 출판한 중관학 관련 자료들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는 고려대장경연구소 통합대장경팀.
국내에서보다 해외에서 더 주목받는 연구가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소장 종림)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후원을 받아 지난해 12월부터 진행하고 있는 ‘불교 언어/판본별 대장경 목록 정리 및 해제 작성’ 사업이다.

자료 조사를 위해 지난 6월 29일부터 7월 6일까지 오스트리아 빈대학의 ‘불교ㆍ티베트학과’와 ‘인도학과’, 독일 함부르크대학의 ‘불교학과’와 ‘산스프리트어 사전 연구소’ 등을 방문하고 돌아온 최종남 박사(책임연구원)는 “문헌학적 연구가 발달한 유럽의 불교학자들조차 시도하지 못했던 연구 프로젝트라며 기대가 대단했다”고 말했다.

이른바 ‘통합대장경 목록 정리’라 불리는 이 사업은 해인사 장경판전에 보관 중인 고려대장경을 기본 텍스트로 삼아 어느 하나의 경전 또는 논서가 다른 한역 대장경(14종)이나 팔리어 대장경(1종), 티베트어 대장경(5종)의 몇 권, 몇 쪽, 몇째 줄에 수록되어 있는지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작업. 또한 경ㆍ율ㆍ론 삼장 가운데 분실 또는 산실되어 현존하고 있지 않은 산스크리트어 원전의 경전 이름을 현존하는 한역이나 티베트어 대장경과 비교해 원래의 이름을 찾아주거나 잘못된 이름을 바로잡아 주고, 해제까지 작성하게 된다.

둔황에서 발견된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티베트어 한문 사본들
최 박사는 “이런 작업이 필요한 이유는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 원전을 티베트어 한문으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판본마다 경전 이름이 다르게 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한역대장경의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의 경우 산스크리트어 경전명 표기가 ‘Sa?ghbhedakvastu(승파사)’ 혹은 ‘Vinayavastu(율사)’로 다르게 전한다는 것. 이럴 경우 티베트어 대장경이나 현존 사본과 대조해 원래의 경전 이름을 찾아주게 된다. 특히 한역대장경의 경우 축약ㆍ오역ㆍ판각 오류ㆍ의역ㆍ첨가가 많아 역자나 번역시기가 불분명한 게 많은데 모든 문헌을 대조함으로써 이러한 오류를 바로잡을 수 있는 계기도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 박사는 “1차 자료(산스크리트어ㆍ팔리어)→한역ㆍ티베트 자료→사본과의 대조, 이 세 가지를 해서도 풀리지 않는 것은 무리하게 복원해 왜곡하는 것보다 의문표로 남겨둘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한역대장경 14종과 티베트어 대장경 3종을 산스크리트어 원전과 대조하는 작업을 끝냈고, 2차년도에는 티베트어 대장경의 나루판ㆍ쪼네판 판본과 팔리성전협회에서 정리한 팔리어 대장경, 관련 사본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최 박사는 “대조 작업이 끝난 목록은 12월경부터 고려대장경연구소 홈페이지를 통해 연구자들에게 공개하겠다”며 “외국학자들도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책자는 영문으로 발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권형진 기자 | jinny@buddhapia.com
2003-07-21 오전 8:47: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