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교구본사주지회의는 7월 2일 오후 서울 법련사에서 회의를 열고 노무현 대통령의 공약사항인 북한산 관통도로 백지화 및 대안노선 검토는 노무현 대통령의 공약사항인 만큼 공약대로 이행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의 성명을 채택했다.
교구본사 주지들은 성명에서 “훼불을 자행하고 중립성을 상실한 국무총리실을 배제하고 노무현 대통령이 직접 나서 불교계 공약사항인 북한산 문제를 해결하라”고 요구했다.
교구본사 주지들은 또 “노선재검토위 보고서에 불교계를 음해 비방하는 문건을 작성, 유포한 훼불행위에 대해 국무총리실은 전모를 밝히고 공개 사과하라”고 요구하고 “현 정부가 불자들과 국민의 요구를 외면하고 불교계를 폄하하는 행위를 중단하지 않을 경우 조계종 불자들의 중대한 항의에 직면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고 경고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북한산 관통도로 건 외에 이남기 전 공정거래위원장 관련사건에 대한 경과보고 건, 전통사찰 보존구역 설정에 관한 건, 종단 문장(紋章ㆍ상징적인 그림으로 나타낸 표시) 개발에 관한 건이 논의됐다.
이남기 전 공정거래위원장 사건에 대한 총무원의 보고에 대해 교구본사 주지들은 “불자들의 종교적 신념에 혼란과 상처를 주고 사회적 혼란과 갈등을 조장한 검사를 발본색원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처하자”고 결의했다.
전통사찰 보존구역 설정에 대해 총무원은 현재 국무조정실의 규제개혁위원회가 추진하고 있는 ‘전통사찰보존구역 설정’과 관련해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교구본사의 협조를 요청했다.
총무원 기획실장 현고스님은 전통사찰시행령에 ‘전통사찰보존구역은 전통사찰의 경내지 가운데 전통사찰의 존엄 및 풍치의 보존을 위해 전래의 통념에 따라 시 도지사가 당해 사찰의 주지와 협의하여 정하는 구역으로 한다’고 돼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지자체에서 당해 사찰주지와 협의되지 않고 있으며, 지자체의 개발을 저해하는 요인을 없애기 위해 최소한의 지역을 설정하고 있어 사찰재산권과 수행환경이 침해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고스님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교구본사들이 전통사찰이 경내지에 버금가는 넓은 구역을 전통사찰 보호구역으로 재설정해 지자체와 재협의하고 ▲현행 전통사찰보존법의 보존구역 설정을 좀더 정확하게 지정할 수 있도록 법의 보완을 추진해 줄 것을 각 교구본사에 요청했다.
조계종을 상징하는 문장과 관련해서 총무원은 안상수 교수가 디자인한 ‘삼보륜(三寶輪)’을 공개했다. 삼보륜은 삼보를 뜻하는 점 세 개를 선사상과 윤회를 뜻하는 동그라미 안에 넣은 형태를 띠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교구본사 주지들은 “모든 종도들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결정하라”고 요청했으며, 총무원은 “내일부터 열리는 본말사주지연수에서 설문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는 등 종도들의 견해를 반영해 최종 결정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