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나 조사들이 세상에 나와 사람들에게 따로 법을 준 것이 없고, 다만 중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본성을 보게 한 것 뿐이다.”(보조국사의 ‘진심직설’ 自序)
불일보조(佛日普照: 1158~1210) 국사의 선사상을 간결하게 서술한 <진심직설(眞心直說)>. 보조국사 지눌스님이 지은 많은 글 가운데 후세 학자들로부터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책이다. 이 책은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것, 우주에서 가장 근본되는 것이 ‘참마음(眞心)임을 설명하고, 어떻게 하면 이 참마음을 밝게 드러내어 사람다운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인가를 가르쳐주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진심직설>은 일반 불자들에게는 널리 읽히지 못했다. 어려운 한문으로 쓰여진데다 선(禪)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한 책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최근 화엄학회장 손창대 박사가 엮은 <진심직설 다시 읽기>(교문)는 참마음에 대해 보조스님이 깨달은 바를 자상하면서도 군말없이 전하는 해설서가 될 것이다. 원문 <진심직설>에 탄허 스님이 토를 달고(懸吐) 이기영 박사가 강의했으며, 각성 스님이 감수하고 발문(跋文)을 썼으며 손창대 박사가 현대 국어로 읽기 쉽게 편집했다. 이 책은 왼편에 한문과 현토를, 오른편에 직역을, 아래편에 주석(註釋)을, 다시 그 아래편에는 현대 국어로 강의 및 해설을 붙여 한문과 한글 번역을 동시에 대조하며 공부할 수 있도록 했다.
엮은이 손창대 박사는 “이번에 우리 마음의 요체를 간명하게 밝힌 <진심직설>만을 따로 뽑아 간행한 이유는 이 책이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의 ‘마음’이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가장 간결한 답을 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마음이 부처임을 확인한 후 닦음의 길을 가야한다’는 보조 국사의 돈오점수 사상체계를 따르고 있는 <진심직설>은 참마음의 본체와 현상, 작용을 근본으로 한 바른 믿음(信), 바른 깨달음(解), 바른 수행(行), 바른 체득(證)의 요체를 간단명료하게 밝힌 명저다. 참마음의 바른 믿음(眞心正信), 진심의 다른 이름(眞心異名), 진심의 묘체(眞心妙體), 진심의 묘용(眞心妙用) 등 15항에 걸쳐 간단한 설명을 붙이고 해설한 책이다.
특히 참마음이 고스란히 잘 드러날 수 있도록 하는 열가지 공부방법을 제시한 ‘진심식망(眞心息妄)’장은 오늘날 생활속의 마음공부법으로도 적절하다. 그 열가지 잘못을 없애는 공부 가운데는 △일체 시시비비를 가리는 마음을 쉬게 하는 공부(休歇) △객관세계에 집착하지 않고 마음을 올바로 유지하는 공부(泯境存心) △마음과 객관세계가 일체이자 같은 뿌리임을 알고 행동하는 공부(內外全體) △이 세계 속에서 사람들이 움직이고 일하고 만들고 나누어 가지는 일들이 다 참마음의 작용임을 아는 공부(內外全用) △나와 바깥세계를 가리지 않고 대해탈 속에서 위화감 없이 한덩어리가 되어 사는 공부(透出體用) 등 구체적인 수행법이 들어있다.
김용정 동방문화대학원장은 “이 책은 보조국사의 불후의 명작과 탄허스님의 완전무결한 현토, 이기영 박사의 원효사상 연구와 손창대 박사의 화엄 및 보조사상 연구의 결과임을 확신한다”며 적극 추천했다.
진심직설 다시 읽기
손창대 엮음
교림
1만9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