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6 (음)
> 생활 > 복지
양적 팽창 조계종 복지 명암 뚜렷
최근 2년간 정부에서 위탁을 받아 운영하는 조계종 산하 복지시설이 25% 이상 증가, 불교 복지활동이 눈에 띄게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양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종합복지관, 노인복지관 등 이용시설(복지시설에 살지 않으며 이용하는 시설) 편중현상과 복지 인력 수급체계 확보 등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조계종 사회복지재단은 2001년부터 현재까지 2년여 동안 서울 궁동복지관, 의성노인복지관, 동여수노인복지관, 서울 광진노인복지관 등 17곳의 복지시설 운영권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따냈다. 이로써 2년간 재단 산하 복지시설은 67개에서 84개로 늘었다. 약 25% 증가한 수치다.

이 기간 중에는 장애인복지시설 증가가 두드러졌다. 영주장애인복지관, 경주장애인복지관 등 최근 2년새 4곳이나 늘어났다. 따라서 그 동안 소외분야였던 불교 장애인복지가 큰 활력을 띠게 됐다.

조계종 복지사업에 대한 사회적 평가도 크게 높아졌다. 서울 은평노인복지관, 서울노인복지센터 등은 지난해 서울시가 실시한 조사에서 이용자 만족도 최고의 복지시설로 선정됐다. 대전 서구노인복지관도 2002년 국내 복지관으로서는 처음으로 ISO 2000 인증을 획득, 불교 복지프로그램의 우수성을 인정받는 계기가 됐다.

그러나 복지관 위주의 수탁이 이루어짐으로써 여성, 노숙자 복지 등 다양한 분야의 복지활동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위탁받은 이용시설 107곳 중 31곳이 노인시설이라는 점도 이런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가정 폭력 피해 여성을 위한 일시보호시설, 미혼모 보호시설 등에 대한 불교계 지원은 거의 없는 상태다. 보호자가 없는 어린이와 노인 등을 일반 가정에서 수용하는 형태의 그룹홈 200여 개를 운영하는 가톨릭과는 비교조차 되지 않는 실정이다. 전체 복지시설의 절반 이상이 서울 등 7대 대도시에 편중된 것도 문제다.
복지 인력의 공급과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이들은 “불교 복지의 마인드를 가진 전문 인력을 공급하기 위한 교육시설이 전혀 없다”며 “이를 통한 복지 인력의 지속적인 확충과 복지시설 간의 상호 네트워크를 통한 불교적인 복지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한다.
이외에도 전문가들은 그룹홈 등 소규모 복지사업 활성화, 자원봉사자와 후원자 발굴 육성 등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조계종 사회복지재단 이호걸 총무부장은 “종단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직접 찾아가는 복지정책을 수립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강유신 기자 | shanmok@buddhapia.com |
2003-03-15 오전 9:05: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