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8 (음)
> 문화 > 학술·문화재
기우뚱 보물7호 고달사 원종대사 혜진탑
보물 7호인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이 앞쪽(남쪽)으로 심하게 기울어 있으나 정확한 원인 규명은커녕 정기적인 안전 점검 대상에도 빠져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월 26일 현대불교 취재진의 현지 취재 결과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은 육안으로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남쪽으로 기울어 있는 것이 확인됐다. 기울기는 동쪽에서 서쪽을 바라봤을 때보다 서쪽에서 동쪽을 바라봤을 때 보다 확연해, 전문적 감식안이 없어도 쉽게 확인할 수 있을 정도였다. 그러나 탑의 기단부와 몸돌 사이가 들뜨거나 벌어진 부분이 없고 해체 보수를 한 적도 없는 점 등으로 볼 때, 구조적 문제보다는 지반침하에 의한 기울기 현상인 것으로 보인다.

4장의 사각형 돌로 이뤄진 탑의 지대석 역시 벌어진 틈이 일정하지 않았는데, 가장 심한 북동쪽 지대석과 남동쪽 지대석의 경우 틈이 6.5~8cm 정도 벌어져 있고, 북동쪽 지대석이 남동쪽 지대석보다 밖으로 6cm 정도 뛰어나와 있었다. 앞쪽(남쪽)에서 탑을 보면 남동쪽 지대석이 밖으로 빠져나온 듯한 상태다. 때문에 지반침하라면 남동쪽 지반일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또 북동쪽 지대석은 아랫부분이 깨져 있고 바닥의 흙이 어른 손이 들어갈 정도로 패어 있는 것이 확인됐다.

이에 대해 석탑 등 건조물을 담당하고 있는 문화재위원회 1분과 위원인 김동현 전 국립문화재연구소장은 “지반이 조금씩 내려앉아 기운 것으로 보이지만 예전부터 그 상태였던 것으로 봐 안전에는 이상이 없어 보인다”면서도 “현재도 내려앉고 있는지 침하가 멈춘 것인지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체크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문화재청은 “안전 점검을 통해 객관적 데이터를 확보한 기억이 없다”고 밝혔다. 건조물의 안전 진단을 맡고 있는 국립문화재연구소 담당자도 “원종대사혜진탑의 경우 연 1~2회 안전 점검을 하는 정기 점검 대상(2003년 19건)에 들어 있지 않다”며 “해당 시ㆍ도나 문화재청에서 안전 점검을 의뢰한 적도 없다”고 밝혔다.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413번지 고달사지(사적 382호) 내에 있는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은 나말여초의 고승인 원종대사(869~958)의 부도로, 탑비의 비문에 의하면 977년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4장의 돌로 이루어진 사각형 지대석 위에 3단의 기단과 팔각 몸돌을 올려놓았으며 조각 수법이 매우 섬세하고 우아해 고려 초기의 대표적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권형진 기자 | jinny@buddhapia.com
2003-03-01 오전 10:42: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