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탑 현물 시주가 현금수수라는 억울한 누명을 쓰고 4년째 법정공방을 벌이고 있는 ‘김태복 소장’ 구명운동에 마지막 불을 당겼다.
2월 18일 포교원 2층 강당에서는 ‘김태복 소장 명예회복 불교대책위원회’ 발족식이 열렸다. 발족식에서 조계종 교육부장 정산스님은 성명서를 통해 “이 사건은 종교와 관련된 비리사건으로 전도돼 자칫 군대내 불교활동이 일순간에 위축될 상당한 우려를 안고 있는 중차대한 사건”이라고 규정했다.
또 “김태복 소장은 올해 5월로 계급정년에 봉착했다”며 “현재 대법원에 계류중인 소송건이 하루빨리 매듭지어져야 군인으로서의 명예를 회복할 수 있고, 불자 장성으로서 군대내 종교활동의 투명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다시는 군대내에서 군불사와 관련된 소송건이 무고하게 재판에 연루되는 사태가 발생되지 않도록 감시할 것이며, 김태복 소장 사건과 같은 유형의 종교편향성이 짙은 사건이 발생할 시 불교계는 절대 좌시하지 않을 것”임을 천명햇다.
불교대책위는 또한 △대법원은 공명정대하고 신속하게 판결할 것 △기소를 주도했던 관련자는 불교계에 사죄할 것 △국방부는 김태복 소장 사건에 대해 공개 사과할 것 등을 주장했다. 대책위는 같은 날 성명서와 탄원서 등을 첨부해 항의서한을 대법원에 접수시켰다.
한편 대책위원장에는 조계종 포교원장 도영스님, 지도위원에 조계종 중앙종회의장 지하스님 외 28명, 공동집행위원장에 조계종 포교부장 일관스님 외 2명 등이 임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