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禪)이 학문의 한 분야로 등장한 것은 극히 최근의 일이다. 불교학 분야 전반에 대한 현대적인 연구의 역사가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그 짧은 동안 선의 경우 그것이 학문으로 성립 가능한가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기도 했었다.
하지만 현재 선학은 새로운 불교학의 한 분야로 다양한 응용학문들을 배출해내며 자리를 잡아나가고 있다.
동국대 선학과 현각스님이 펴낸 <선학의 이해>는 선학에 대한 본격적인 입문서이자 개론서다.
이 책은 선의 역사나, 선사들의 이야기에만 치중했던 기존의 선 관련서와 달리 선의 역사와 수행, 선전(禪典), 선학의 방향 제시 등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입문서로서의 격을 갖추었다.
현각 스님은 “선이 학문의 분야로 등장한 이후 선에 대한 체계적이고 분류적인 해석의 작업과 더불어 선의 의의와 그 본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왔다”면서 “선학 강의를 담당하고부터 틈틈이 준비해 둔 강의안과 단편적인 이론서 등을 참조하면서 학문으로서 선의 가치와 중요성을 이야기 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선학의 이해>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제1부는 선의 사상사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다. 인도에서 발생한 선의 근원으로부터 붓다의 수행, 인도선, 선법의 중국전래, 중국선종, 한국선법에 이르는 과정을 면밀히 살핀다.
제2부는 선경(禪經)과 선어록, 실제 수행법을 하나하나 짚어가며 선이란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제3부에서는 마음에 대한 선적 고찰과 간화선의 성립 배경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여시아문 刊, 값 1만5천원>
이은자 기자
ejlee@buddhapi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