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27 (음)
> 문화 > 출판
원효연구의 어제와 오늘
<원효>(예문서원)는 지금까지 발표된 원효 스님 관련 논문 700여 편 가운데 스님의 일심(一心), 화회(和會), 무애(無碍) 등 스님의 사상과 철학을 가장 잘 보여주는 13편의 논문을 모았다.

편자 고영섭(동국대 강사) 씨는 “철학적으로 접근하거나 뚜렷한 논지를 지닌 논문을 중심으로 분야를 골고루 안배했다”고 선정이유를 밝혔다. 논문이 발표된 시대도 1962년부터 2000년까지 다양하다.

조명기(전 동국대 교수) 씨의 ‘불교의 총화성과 원효의 근본 사상’은 한국 불교의 총화성 이론과 총화성의 교리를 언급 한뒤 원효의 저서에 나타난 공통사상, 교판론, 종지, 한국 불교의 준거, 중흥조와 가치관, 통섭 모책, 행적 실천 등을 밝히고 있다.

이종익(전 동국대 교수) 씨의 ‘원효의 십문화쟁론’은 원효 스님의 일관된 사상을 화쟁으로 파악하면서 흩어져 있던 해인사 장경각의 단간본 <십문화쟁론>을 복원하여 그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조명기 씨의 ‘원효종사의 십문화쟁론 연구’와 최범술 씨의 ‘십문화쟁론 복원을 위한 수집 자료’와 대비된다.

또한 박태원(울산대학 교수) 씨의 ‘대승기신론 사상을 평가하는 원료의 관점’은 원효 사상의 중관과 유식을 지양한 사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유식 사상의 기반 위에 있음을 밝히고 있고, 고영섭 씨의 ‘원효의 화엄학’은 포괄적 불교사상가인 원효에게 화엄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그 체계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탐구하고 있다.

이밖에도 이 논집에는 고익진(전 동국대학 교수) 씨의 ‘기신론소ㆍ별기를 통해 본 진속원융무애관과 그 성립 이론’, 은정희(서울교육대학 교수) 씨의 ‘원효의 삼세 아라야식설의 창안’, 이평래(충남대학 교수) 씨의 ‘여래장설과 원효’등이 실려 있다. 값 2만3천원.

김중근 기자
gamja@buddhapia.com
2002-02-02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9.1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