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27 (음)
> 문화 > 출판
시심으로 본 산사 풍경
이상범(66) 시인은 30여 년 전부터 사찰을 찾기 시작했다. 속세를 떠난 그곳에서 시인은 사찰의 웅대한 부분이 아닌 아주 작은 것에 초점을 맞추고 시심에 잠긴다.

<풀빛화두>(책만드는집)는 절을 찾는 사람들이 무심코 지나쳐버릴, 어쩌면 하찮게 생각하는 것들을 시제로 하여 쓴 시집이다.
“어둠을 찢어 발기며/ 새소리가 산을 오른다/ 물소리 차오르듯/ 산새소리 찰찰 넘쳐/ 그 소리 해돋이 한 자락/ 대불전에 공양한다.”(‘새소리’ 전문)

석굴암의 일출을 보기 위해 토함산에 오른 시인은 이 세상에 태어나 배운 모든 지식들을 벗어 버리고 때묻지 않은 본래의 감각을 작동 시킨다. 그리하여 시인은 계곡 끝자락에서 들리는 새소리, 자연의 향기와 맛 그리고 동해의 일출을 시에 담는다.

“판각 앞에 말문 닫으면/ 켜로 앉은 칼끝소리/ 스무 해 새긴 각이/ 불음 담아 떠오른다/ 별빛이 쏟아지는 밤에/ 별을 헤다 잠든 밤에….”(‘팔만경판생각’ 전문)

수천년 동안 항상 그 자리에 묵묵히 있는 경판들이 뭔가를 말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해인사의 외형에 눈을 빼앗긴 사람들은 이런 감상에 잠길 수 없다. 이상범 시인의 시들은 심안(心眼)으로 읽히는 시들이다. 값 5천5백원.

김중근 기자
gamja@buddhapia.com
2001-07-14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9.1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