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28 (음)
> 문화 > 출판
저승엘 가면 이승이 고향 아닐까
고향, 자연 그리고 사찰을 주로 시조에 담아온 백수 정완영(83) 씨가 의미심장한 시조집 <이승의 등불>(토방)을 내놓았다. 이 시조집은 마치 이승의 온갖 탐욕과 망상을 떨친 듯한 원로 시인의 향취가 행간마다 묻어난다. 특히 머리말을 대신한 서시가 그렇다.

"내가 죽어 저승엘 가면 이승이 고향 아닐까. 너랑 나눈 한잔 차 이야기 오소스. 추운 낙엽 가을 밤 잘 익은 등불이 모두 꿈길에 밟히겠네."

이처럼 정 시인은 시어를 통해 이승과 저승이 둘이 아님을 이야기한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이 지구도 하늘일거야. 우리마음 징검다리는 하늘나라 오작교이고, 냇물에 엎드린 돌팍은 가막까치 머리일거야…"(하늘에서 내려다보면 중에서). "한 팔십 산후에야 제주도에 건너가서, 차 한 잔 받아 놓고 한 세월을 지켜봐라. 찻잔 속 파도에 밀리는 섬 하나가 떠 있을라…"(한 팔십 산 후에야 중에서).

한 경지에 이른 시인의 시는 소리로 화하여 꽃이 되고, 꽃이 그대로 세상이 되고, 그것이 온통 삶임을 깨닫는 조화로움을 보여준다. 그래서 시는 속세인에게는 알 듯도 하고 모를 듯도 하는 것이 아닐까. 하지만 뭇사람들에게 어둠을 밝히는 지혜의 등불처럼 환하게 다가온다. 마치 확철대오한 오도송처럼.

평소 사람마다 등불 하나씩 달아 준다는 심정으로 향 사르고 정좌하고 지성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던 정 시인. 그가 말과 생각을 아껴 내놓은 이 시조집은 시보다는 화두로 읽힌다. 값 7천원.

김중근 기자
2001-05-22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9.19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