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관통도로 노선조사위원회 첫 모임이 조사구간과 인원구성, 경비부담 문제 등의 이유로 무산됐다.
조계종 공동대책위(위원장 성타)측은 10월 4일 △노선조사구간을 일산~퇴계원 전 구간을 할 것 △시공사측 노선조사위원 중 설계, 시공, 감리와 관련된 업체의 관련 인사 배제 △노선조사 소요경비 정부 부담 등의 내용을 담은 공문을 서울고속도로주식회사측에 전달했다.
서울고속도로측은 5일 △조사구간 4공구(사패산) 한정 △인사 배제 거부 △우회노선 용역비 공대위 부담 등의 내용을 담은 공문을 공대위측에 발송해 첫 모임이 무산됐다.
이와 관련 공대위와 불교환경연대는 8일 ‘북한산 관통도로 노선조사위원회 첫 회의 취소에 따른 불교계 입장’이라는 논평에서 “노선조사위원회 활동 방향은 국립공원을 훼손하지 않고 대기 오염을 가중시키지 않는 대안노선의 가능성을 찾자는 데 있는 만큼 모든 공구를 노선조사범위에 포함시켜야 한다”며 “인접 공구의 공사를 계속하면서 노선조사 범위에 4공구 외의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은 사실상 국립공원을 파괴하겠다는 의도에 다름 아닐 뿐 아니라 노선조사위원회 구성의 의미를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행위”라고 밝혔다.
남동우 기자
dwnam@buddhapi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