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30 (음)
> 종합 > 종단
조계종 제11대 종정에 법전스님 추대
날 전부 몸살을 해서 야단들입니다. 나는 노장님 만큼 마음이 독하지 못해 그냥 살살 좀 봐주고 있습니다. 그렇게 스승노릇하기도 쉬운게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자주 일어납니다.

3. 대승사 묘적암 시절

내가 젊어서 공부한 경험당을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내가 33세 때(1957년) 일입니다. 우스운 것을 보아도 우습지도 않고 좋은 것을 봐도 좋은줄 모르겠고 늘 밥 먹고 체한 것 같이 가슴이 어뭉하고 뭔가 걸린 듯이 시원찮고 답답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세월을 보내서는 안되겠다 싶었습니다. 그 때 마침 성철 노장님도 안정사 천제굴에서 파계사 성전암으로 옮기게 되었습니다. 암자 삥둘러 사람이 들어오지 못하게 철조망을 치고 당신이 공부할 수 있는 모든 준비를 다 해드린 다음 천제. 만수. 상열수좌에게 시봉을 맡기고는 나는 문경 대승사로 혼자 공부를 떠나야겠다고 결심을 하였습니다.

묘적암에 들어가보니 쌀이 한 두어가마니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아랫마을 전두리라는 곳에 칠성계원이 50여명이 이 암자의 신도라고 했습니다. 그것과는 상관없이 "이렇게 시간만 보내다가는 안되겠다 싶어서 내가 저 쌀이 다 떨어지기 전에 공부를 마치든지 결과가 시원한 꼴이 안나면 죽든지 둘중에 하나를 해야겠다"고 결심을 했습니다. 칠성계원이고 뭐고 일체 출입을 못하도록 문을 잠구어 버렸습니다. 내가 산에 갈 때나 문을 열지 그 외는 아무도 문을 열지 못하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혼자 살면서 밥을 하루에 세끼 씩 해먹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닙니다. 귀찮은 것도 귀찮은 일이지만 시간이 너무 많이 들어 공부할 시간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밥을 한 다섯되쯤 해놓고 양동이에다가 퍼서 방구석에 두고 그 옆에는 김치단지를 하나 같다놓았습니다. 그리고 양재기와 숟가락을 갖다놓았습니다.

겨울인지라 찬밥을 양재기에 떠서 김치조각 하나 놓고 대충 먹고는 우물가에서 찬물 한모금 먹는게 공양의 전부였습니다. 양재기고 수저고 일체 씻지도 않았습니다. 더럽느니 깨끗하니 하는 것도 다 쓸데없는 소리였습니다. 그리고 나는 죽을 사람이니 얼굴을 씻고 말고도 할 것이 없었습니다. 발도 안씻고 방안 소지도 안하고 마지 올리는 종 등 일체 의식도 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나무는 하루에 한짐씩 운동삼아 했습니다. 나무도 생나무를 베는 것이 아니라 이미 산판하고 남은 등걸만 톱질해서 모아 부엌에 가득 채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은 냉기만 가시게 하는 정도로 불은 조금만 때었습니다. 더우면 게으른 생각을 내기 때문입니다. 이불도 베게도 다 없애 버렸습니다. 이렇게 하기를 한 삼개월 이상 살았습니다. 그 아래 윤필암에 비구니 스님들이 살고 있었는데 "내가 혼자 살고 있으니 혹 무슨 일이 있으면 종을 칠 테니까 그 때는 한번 올라와달라"고 부탁을 해놓은 터 였습니다.

석달이상 청소를 하지않은지라 아침에 해가 뜰 때는 앉은 자리에서 보면 윗목에 쌓인 먼지가 눈이 살짝 온 것 같았습니다. 포행한 곳은 눈내린데 발자국이 새겨진 것 같이 보였습니다. 얼굴을 석달이상 씻지 않아도 씻고 분(粉) 바른 사람이나 하나도 다를 것이 없었습니다. 밥그릇을 씻지않고 그대로 먹어도 더럽다는 생각이 없었습니다. 위생이니 병균이니 하는 것도 아무 소용없는 소리였습니다. 발도 씻지 않았고 그저 눈을 뜨면 얼굴 한번 손으로 부비는 것이 전부였습니다.

한번은 한밤중에 윤필암에서 비구니 스님들 한 무리가 들이 닥쳤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왔느냐"고 물었더니 "종소리가 나길래 무슨 일이 있는줄 알고 왔다"는 것이였습니다. 나는 종을 친 일이 없다고 했습니다. 지금도 그렇치만 나는 그 때 순두부를 아주 좋아 했습니다. 그 스님들이 올라 오면서 순두부를 5되짜리 커다란 차관에다가 가득 담아서 가져온 것이였습니다. 그래서 한 사발 맛있게 먹고 난 뒤 그 나머지를 방 위쪽 구석의 삼각탁자 위에다가 두었습니다. 겨울인데다가 방에 불을 적게 넣어 상할 걱정은 하지 않아도 좋았습니다.

윤필암 스님들은 내려갔고 나는 또 좌복위에 앉았습니다. 얼마나 지났는지 하루는 그 차관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그래서 순두부 생각이 나길래 한사발 먹을려고 다가가서 뚜껑을 열었습니다. 그랬더니 이미 곰팡이가 새까맣게 나버린 뒤 였습니다. 겨울이고 또 방이 차가운지라 몇날이 지났는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4. 파계사 성전암 시절

그렇게 정진하던 중 마음에 변화가 왔습니다. 그래서 그냥 있을 수가 없어 파계사 성전암으로 노장님을 찾아 갔습니다. 오후에 저물게 나선지라 밤중이 되어 대구 동명 뒷쪽을 거쳐 성전암으로 들어가는 산길의 입구에 도착하였습니다.

마침 눈이 내렸고 석달이상을 하루에 찬밥 한덩이로 지내고 난 뒤라 허기가 들었는지 산을 올라가는데 아무리 걸어가도 걸음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어린애 걸음마 같아 한 시간이면 갈길을 세시간 이상 걸려 겨우 겨우 올라 갔습니다. 솔잎 따먹고 눈(雪)4 씹고 솔잎 따먹고 눈 씹으면서 힘들면 주저앉아서 쉬다가 가니 밤 12시나 되어서 성전암에 도착했습니다. 철망이 쳐져 있길래 그것을 뛰어 넘었습니다. 그래도 철망 뛰어넘을 힘은 어디선가 나는 것이었습니다.

성전암 마당에서 소리를 질렀습니다. 내 목소리가 본래 좀 컵니다. 한밤중에 온 팔공산이 쩌렁쩌렁 울리도록 몇번 소리를 질렀습니다. 그 다음에 문을 열고 노장님 방으로 들어가서 드러누워 버렸습니다. 꿀물을 타다 주길래 마시고 조금 쉰 다음에 점검을 받게 되었습니다.

" 여하시조사서래의(如何是 祖師西來意)닛고
어떤 것이 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이냐 ?"

"시전(屍前)에 주삼작(酒三酌)이니라.
죽은 사람 앞에 술이 석잔입니다. "

" 여하시조사서래의(如何是 祖師西來意)닛고
어떤 것이 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이냐?"

"창천(蒼天) 창천(蒼天)이로다
아이고! 아이고! 아이고! "

그리고는 바로 일어나 뚜벅뚜벅 방안을 걸으면서 또 한마디 일렀습니다.

일월(日月)이 동서별(東西別)하니
좌인(坐人)이 기이행(起而行)이라.
일월이 동서를 분별하니
앉았던 사람이 일어나 가더라.

예전에는 공부하다가 깨친다던가 득력(得力)을 하면 파참재(罷參齋)를 하게 되어 있습니다. 즉 수행을 완성하여 스승의 지도를 면제받는 의식으로 떡을 해먹었습니다. 노장님이 "파참재 떡을 오늘 해주겠다"라고 하시길래 "싫다"고 했습니다. 나는 떡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파계사 큰절 금당에 있으면서
성전암까지 왔다갔다 하면서 더욱 정진을 하였습니다.

5. 태백산 홍제사 토굴시절

그 뒤 태백산 홍제사 골짜기의 토굴로 들어갔습니다. 그리고 출격장부로서 장부답게 멋지게 한법 살아봐야겠다고 다짐 했습니다. 우리 불가(佛家)에서는 가장 높은 산을 수미산(須彌山)이라고 하고 가장 깊은 바다를 향수해(香水海)라고 부릅니다.

생각해보니 수미산 꼭대기에 올라가 내 몸을 은둔시키고 세상을 훤히 내다보고 살았으면 좋을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수미산에 올라갔습니다. 그랬더니 그 큰 수미산이 내 그 작은 엉덩이 속으로 들어가 버리고 보이지 않는 것이였습니다.

그래서 여기는 안되겠다 싶어서 향수해 바다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랬더니 그 바다 역시 내 발바닥 밑으로 감추어져 버리는 것이였습니다. 내 발바닥 속에 파묻쳐 보이지를 않는 것이였습니다. 그래서 여기도 내가 살 곳이 아니였습니다.

그 때 바로 한 생각을 돌이켰습니다. 우리는 보통 탐진치(貪嗔癡) 삼독(三毒)을 없애야 성불한다고 하는데 그게 아니었습니다. 탐진치 그 자체가 바로 나 였습니다. 탐진치가 있기에 나(我)라는 존재가 있고 탐진치가 없어지면 나(我)라는 존재가 없어질 것입니다. 아! 그렇구나. 그래서 탐진치 속에서 영원히 한번 살아보자고 했습니다. 알고보니 탐심이 제일 많고 진심(嗔心)이 제일 많고 치심이 제일 많은 그 놈이 바로 나 였던 것입니다.
2002-03-27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9.2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