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30 (음)
> 종합 > 종단
빈발 문화재 도난 어떻게 막을까
우리 나라 문화재 관리가 허점 투성이라는 지적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때만 되면 '사상 최대 문화재 밀매단 적발'이니 하는 문화재 도난 기사가 언론을 장식하곤 한다는 점이 우리의 문화재 관리 수준을 짐작하게 한다.

문화재중에서도 도난이나 도굴꾼의 표적에 쉽게 노출되는 것으로는 크게 사찰과 문중 소유 문화재, 그리고 땅 속에 묻혀 있는 매장 문화재로 대별할 수 있다.

이중 도굴 사건은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디에선가 진행되고 있다고 할 만큼 비일비재하다. 전남 해남군 방산리라는 곳에는 전남 지방에서만 특이하게 발견되는 무덤양식인 장고형 고분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인 길이 76m짜리가 있다.

그런데 이 고분은 유물이 몽땅 도굴당했음이 최근 국립광주박물관 발굴 결과 드러났다. 청주 신봉동에는 4-5세기 백제 고분이 밀집해 있고 충북대박물관이 10년 가까이 이곳을 발굴하고 있다.

하지만 고분떼가 있는 능선 곳곳에는 도대체 도굴 구멍이 몇 개인 줄도 모를만큼 도굴 흔적이 곳곳에서 감지된다.

도굴보다 쉬운 문화재 도난이 바로 절취. 문화재 절취 혹은 밀매단은 특히 관리나 경비가 소홀한 사찰이나 문중을 노리는 경우가 많다.

4월 24일 서울지검이 적발했다고 발표한 문화재 절취단도 사찰을 겨냥했다.

이런 도굴 혹은 도난 사건이 터질 때마다 문화재청을 비롯한 관계 당국은 반응이 한결같다. '지금과 같은 문화재 관리 체계로서는 이번 사건은 빙산의 일각일 뿐이며 근본적으로 막을 재간이 없다'는 것.

언론은 사건이 터질 때마다 관계 당국의 무성의를 질타하지만 그에 앞서 생각해 보아야 할 점은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예컨대 문화재 관리 허술에 대한 화살이 주로 겨냥되는 문화재청을 보자.

문화재청 소속 문화재 단속반이 단 2명이라는 처참한 현실을 안다면 '문화재 관리를 왜 이따위로 하느냐'는 비판은 쑥 들어가기 마련이다.

이와 관련, 문화재청 관계자는 '뭐니뭐니 해도 문화재에 대한 국민의식 개혁이 요체다'라고 지적한다. 문화재를 돈으로 환산해 사고 판다는 국민의식이 개조되지 않고는 문화재 도난이나 도굴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없다는 뜻이다.

사찰이나 문중 소장 문화재 관리에 대한 좀더 현실적인 대안으로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문화재 집중관리시설 건립이 강력히 대두되고 있다.

다시 말해 관리나 보관이 어려운 이들 문화재를 소유권은 원래 소장자로 둔 채 위탁관리만 한다는 것. 실제 이런 사업을 한국정신문화연구원과 국사편찬위원회는 시행하고 있다.

아직 시행 초기이기는 해도 정문연 고문헌 자료실에는 각 문중이 위탁관리를 위해 넘긴 고문서가 차곡차곡 쌓이고 있다.

고문서 전공인 이곳 안승준 박사는 '아직까지 위탁관리를 내켜하지 않는 분위기가 있기도 하지만 많은 호응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이와 더불어 사찰 문화재의 경우 이를 전문적으로 관리할 사찰박물관을 건립하고 이를 운영하기 위한 전문 큐레이터를 많이 양성하는 방안이 강구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조계종 산하 주요 사찰에는 박물관이 있기는 하나 전문인력과 운영비 지원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2001.4.24 연합뉴스
2001-04-25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5. 9.2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