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이 최근 신도교육 강화를 통한 신도등록 배가에 매진하고 있는 가운데, 주무 기관인 포교원이 종무원들의 신도등록과 사찰 신행활동을 내부적으로 촉구하고 나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포교원에 따르면 총무원과 교육원 등 중앙종무기관 종사자 75명 가운데 21%인 16명이 신도등록을 하지 않았고, 신도등록을 한 종무원 가운데 88%인 66명이 올해 교무금을 납부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이런 사정은 불교단체나 불교언론에 종사하는 불자들에게도 별반 다를 바 없다. ‘나름대로 불교를 공부하고 인연있는 사찰을 참배하면 됐지, 구지 재적사찰을 가질 필요가 있느냐’는 원론적인 생각에서다. 아마 신도등록 캠페인을 애써 외면하는 대부분의 신도들 역시 이러한 ‘신도관’에 젖어있을 것이다. 여기에 신도등록 사업의 함정이 있다.
조계종에 등록한 신도수는 지난달 말까지 모두 25만여명. 조계종의 신도등록사업은 사업 주체인 중앙 종무원들에게 마저 실효성이 없을 정도로 실패한 종책인 것일까. 포교원 관계자는 대부분 신규 종무원들이 신도등록을 하지 않았다고 말하고 있지만, 직원 채용시 신도등록이 주요 사정 항목인 점을 생각할 때 설득력이 떨어진다.
조계종이 지난 6년간 추진해온 신도등록 사업은 해마다 그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신도등록 폐지론’에 부딪치며 굴곡을 겪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조계종은 재적사찰 갖기 운동, 신도등록 홍보강화, 신도등록 우수 사찰 포상, 미비한 사찰의 종정감사 강화, 인사고과 반영 등을 실현하겠다며 여전히 지속적인 추진 의지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사업의 당위성을 설득력있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중앙종무기관과 사찰, 불교단체 등 재가 종무원들의 솔선수범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이다.
김 재 경 (취재1부 차장)
jgkim@buddhapi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