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이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인 선학원과의 관계 정상화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양측 대표자들은 8월 30일 회담을 통해 관계 정상화 방안을 확정했다.
관계 정상화 안에 따르면 선학원은 정관의 목적 조항에 ‘대한불교 조계종의 종지와 종통을 봉대한다’는 구절을 삽입함과 동시에 임원 조항을 ‘임원은 대한불교 조계종의 승려인 분원장을 이사회에서 선출 한다’로 개정한다고 한다. 나아가 현행 조계종의 종헌, 종규를 존중하여 향후 조계종 소속 승려가 창건한 신규사찰은 등록을 받지 않고, 조계종단에 교육 분담금을 납부하겠다는 것이다. 또 조계종에서는 종법에 ‘재단법인 선학원의 인사권, 재산권, 운영관리권 등의 고유권한을 일체 침해하지 않는다’는 조항을 신설하고, 선학원에 대해 시행하고 있었던 교육, 승적, 수계에 대한 권리제한을 해제하기로 했다.
조계종과 선학원의 갈등은 이념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 양측의 첨예한 이해관계에 따른 것이다. 특히 해방 이후 타의에 의한 정화운동의 전개와 그로 인한 종단의 혼란과 갈등이 이어졌다. 그것이 선학원의 독자노선을 고집하게 만들었다고 본다.
우리나라의 종교 환경은 과거와 사뭇 다르다. 다종교 사회이며, 더구나 불교가 절대적 영향을 행사하는 시대가 아니다. 사회 윤리적으로 그 도덕성과 적절성을 인정받지 못하면 도태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급변하는 사회는 불교계 역시 지식산업사회에 적응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제 내부적인 문제를 신속하게 정리하고, 결집된 불교계의 내적 역량을 사회를 위해 회향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조계종과 선학원의 관계 정상화는 역사적 필연이다. 양쪽이 대립해야 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이미 99년도에 관계 정상화를 합의했으나 조계종 종회의 인준을 받지 못하여 실패한 바가 있다. 이번에는 지난번의 미비점까지 보완했다고 하니 종회의 인준을 받는데 크게 문제되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양측의 관계자들은 대승적인 차원에서 문제의 해결점을 찾아 불교발전의 백년대계를 수립하길 고대하여 마지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