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총무원이 불교시민사회단체를 육성, 지원하기 위해 사업을 공모하고 8개의 사업에 300만~500만원씩의 사업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번 조계종의 사업비 지원에 대해 우리는 불교시민사회단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따른 가시적인 조치를 취한 것이라고 보며, 환영의 뜻을 밝힌다.
시민사회단체의 역할은 매우 크다. 행정학에서는 시민사회단체를 '제3섹터'라는 용어로 표현한다. 한 사회의 운영 축으로서 정부와 기업 그리고 시민사회단체를 친다. 그만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몇몇 대학에서는 NGO(비정부기구) 관련 학과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한때 우리 사회의 일각에서는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이 반정부적 성격을 띰으로 해서 반정부단체로 오해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시민사회단체를 공공의 이익을 위한 사회기구로서 인식하고 있다. 정부와 기업이 하지 못하는 일을 시민사회단체가 하기도 하고, 정부와 국회, 기업, 언론 등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치는 집단에 대한 감시활동도 하고, 올바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불교시민사회단체의 활동은 포교의 측면에서 보더라도 훌륭한 포교의 방법이다. 물론 이들 단체들이 불교의 포교를 주목적으로 삼고 활동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부처님 가르침을 우리가 살고 있는 이 곳에 실현하고자 하는 방편으로서의 활동이다.
그래서 불교시민사회단체의 활동은 곧 하화중생이다. 이런 점에서 종단에서 적극 지원하고 나서야 하는 당위성이 성립된다. 이 같은 점을 인식하고 조계종총무원이 나선 것은 늦기는 했지만 매우 다행스런 일이다.
지원금의 액수가 적은 것은 조계종 총무원의 재정 규모가 적기 때문이다. 지원금이 많지 않다고 해서 생색내기용이라고 폄하해서는 곤란하다. 다만, 지원금의 액수를 차차 늘려 불교시민사회단체의 사업을 실질적으로 육성, 지원하는 수준까지 이르기를 조계종에 당부한다.
불교시민사회단체의 사업을 지원하고, 그런 단체를 육성하는 일이 조계종만의 일은 결코 아니다. 여러 종단이 지원책을 실행해야 한다. 불교시민사회단체를 지원하는 것을 두고 종단간에 경쟁하는 것은 많을수록 좋다고 본다.
경쟁하는 것이 달갑지 않다면 26개 종단의 협의기구인 종단협의회가 나설 수도 있다. 종단협의회에서 불교시민사회단체 육성과 지원을 위한 특별회계를 설치해 운영하면 좋을 것 같다. 이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