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미술인들이 사찰 봉안 예정작을 출품하는 등 불미전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있어 이를 방지하고, 순수한 차원의 불교미술 발전을 위해 상금에 작품구입비를 포함시켜 대상과 우수상을 종단에 귀속시키기로 했다."(조계종 문화부)
"작품 귀속은 말도 안되는 소리다. 상금은 순수하게 상금 차원에서 주고, 작품은 작가와 충분한 협의를 거쳐 제값으로 주최측이 사들이는 게 진정한 의미의 불교미술 발전을 위해 지켜야 할 원칙이다."(불교미술인들)
9월 28일 수상작 발표를 마친 제18회 대한민국 불교미술대전은 여느 때보다 많은 과제를 던졌다. 논란의 발단은 작품귀속 문제였지만, 일반 공모전의 최소 수준인 5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분야별 2~4명의 심사위원 위촉, 점수제가 아닌 심사위원의 투표를 통한 수상작 결정 등 심사방법의 합리성과 공정성 문제, 주최자와 개최 방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논의를 불러일으켰기 때문이다. 다만 이러한 논의들이 주최자인 조계종과 불교미술인들의 활발한 의견 교환을 통해 진정한 불교미술발전의 토대가 되지 못한 채 왈가왈부의 수준에서 그친 점이 너무나 안타깝다.
사실 30년의 전통에도 불구하고 불미전은 그동안 일부 심사위원들의 인맥에 의한 수상자 선정, 공모 방침의 무원칙한 변경과 번복 등 투명하지 못한 운영으로 확고한 위상을 정립하지 못했다. 일부 불교미술인들 또한 창조적인 창작활동으로 불교미술의 발전을 이끌어내기보다는 전통작품의 모사에 그치거나, 영리목적을 위해 불미전을 이용하기도 해서 빈축을 샀다. 이같은 상황속에서 이번 불미전은 작품 귀속 문제로 일부 미술인들이 불참하면서 전통분야의 참가작품 수가 지난 17회 때보다 상당수 줄어, 결과적으로 수상작의 질적인 퇴보를 불러 오지 않았느냐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조계종측은 나름대로 공모방침을 확고히 준수해 운영면에서 내실을 다졌고, 진통속에서도 앞으로 이 방침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불미전의 공신력이 확보되는 것은 아니다. 작품 귀속 방침은 어떤 면에서는 작가들의 창작 의욕을 위축시켜, 응모작의 출품 수와 질을 떨어뜨리고 불교미술의 퇴보를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는 단순한 기우만은 아니다.
이은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