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댐 건설 반대운동이 점차로 힘을 얻어가고 있다. 지리산 권의 7개 지방자치단체장들과 남원시 의회의 반대의견을 표명하면서, 지리산 댐 백지화 국민행동 등에 의해 주도되어왔던 운동이 정부이 무분별한 댐 건설을 막아낼 수 있는 힘으로 가시화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런 힘들에 의해 100만인 서명운동이 계속되고 있고, 또 지리산 댐 백지화를 위한 지리산 문화제 등이 기획되고 있어, 이제 정부가 지리산 댐 건설을 계속 추진한다는 것은 전 국민적인 저항을 무릅쓰지 않으면 안되는 어려운 사업이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국민적인 저항에는 그 뚜렷한 논리가 있다. 물 부족을 해소해야 한다는 것은 온 국민 누구나가 절감하고 있는 문제이다. 그러나 댐 건설이 그 대안은 아니다. 본지의 사설에서도 이미 지적했듯이 걸핏하면 댐 건설을 들고 나오는 것은 국민에게 가시적 성과를 과시하려는 안이한 발상에 다름 아닌 것이다.
가능하면 자연 환경과 문화유산을 파괴하지 않고 물부족을 해소하려는 장기적이고도 사려깊은 정책 수립이 있어야 한다. 환경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물 부족을 해소하는 유일한 길은 조림 면적을 더 넓히는 길 밖에 없다고 충고하고 있기까지 하다.
이미 오염된 물은 그냥 포기해 버리고, 새로운 물을 찾아 새로운 오염과 파괴를 일으키는 악순환을 그치고, 오염된 환경을 되살리고 장기적인 조림정책을 통해 물을 오래 잡아 두고 쓰는 그러한 친환경적인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 얼마나 많은 물들이 오염된 채로 방치되고, 또 오염을 가속화시키는 무분별한 개발에 의해 죽어가고 있는가? 그런 물들을 살리는 정책, 노후된 상수도관 등으로 인해 새어버리는 물을 거두는 정책, 이런 정책에 힘을 쏟아야 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한다.
이런 반대들을 무시하고 지리산 댐 건설을 결행한다면 결국 환경과 문화를 파괴한 졸속하고도 안이한 행정의 표본으로 역사에 길이 오점을 남길 것이다. 한 번 파괴된 환경은 몇 배의 노력으로도 회복하기 힘들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한 번 결정한 일을 좀체로 철회하려 하지 않는 정치 권력의 속성으로 보아 이러한 무분별한 파괴를 막을 책임은 이제 우리 국민들에게 주어진 셈이다. 그리고 일찍부터 환경지킴이, 산지킴이 역할에 나서왔던 불교계가 이러한 일에 중심으로 나서야 한다는 것도 또한 분명하다. '지리산댐 백지화 추신 범불교연대'에 힘을 교계의 힘을 모으고, 전국 사찰조직 등을 통해 불자들의 뜻을 모아, 불교의 울타리를 넘어 부처님의 지혜를 온 국민에 회향하는 큰 운동으로 전개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