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물리교육학과의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이 6월 8일 정부를 상대로 ‘수업권 침해에 따른 손해를 보상하라“며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서울지법에 냈다. 학생들은 소장에서 "BK21(두뇌한국) 사업에 따라 교수가 대거 다른 단과대학으로 옮겨간 뒤 교수가 충원되지 않아 개설강좌가 31개에서 12개로 줄었고 교수 1명이 맡고 있는 6개 강의 외에 나머지 수업은 시간 강사로 대체하는 바람에 수업권 침해를 받고 있다"며 "지도교수와 전임교수로부터 적절한 교육을 받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한 손해를 배상하라"고 주장했다.
그렇다면 동국대의 경우는 어떤가. 동국대도 시간 강사의 의존도가 높을 뿐 아니라 불교대학의 경우 교수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지난 5일 열린 ‘불교대학 장단기 발전방안 공청회’에서 제기됐다. ‘교수 및 연구기관 진흥방안’에 따르면, 불교대학 학부 재학생 기준으로 교수 1인당 학생 수는 16대 1. 그러나 대학원과 학부의 전원을 대상으로 하면 실제 1인당 학생비율을 크게 떨어진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교수들은 강의가 많아 ‘자아와 명상’ ‘불교와 인간’ 등 불교교양과목 강의의 상당부분을 강사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불교대학 강사가 모두 52명에 이른다는 점이 비전임 교수의 의존도가 얼마나 높은지 알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공청회에서 세계적인 석학과 석좌ㆍ연구ㆍ겸임 교수 등의 충원과 대학원 전임교수제 문제가 적극적으로 거론됐다는 점은 다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특히 교양 필수 교과목인 ‘불교와 인간’ 강의를 불교학 전공 교수 전담을 원칙으로 하자는 방안은 더욱 그렇다. 아무리 교양강좌라고 하더라도 학생들에겐 양질의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불교학 교육 연구중심대학으로 거듭나기 위해 이번 공청회에서 제기한 이러한 문제점을 학교 측이 얼마나 깊이 있게 인식하고 구체적 실천을 보일지에 대해서는 기대를 갖고 지켜 볼 일이다.
김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