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8 (음)
> 오피니언
<사설> 장점 많은 납골시설
한국은 세계 3위인 인구과밀 지역이다. 이 땅에 사는 사람들 모두 죽으면 이 땅에 묻힐 것이다. 매년 여의도 크기의 땅이 죽은 사람의 몫인 묘지로 변해가고 있고, 미래의 언젠가는 전 국토가 묘지화 될 것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결국, 정부에서는 적극 화장과 납골당 시설을 권장하고 있지만 아직도 조선조 500년의 매장문화에 길들여 온 유교전통의 깊은 관념이 화장이나 납골당 시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최근 경북 안동의 월봉사에서 납골당을 지으려다가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주민들의 반대 이유는(납골당이 일종의 혐오시설이기에 집단이기주의로 인한 자존심) '산림이 훼손되고 자연 경관이 파괴된다'는 것이다. 사실 따지고 보면, 납골당에는 단 1평 시설에 따라 몇 십 구(柩)의 유골을 모실 수 있으나, 3평 짜리 분묘를 쓴다해도 1백 구면 300평의 땅이 잠식되므로 국토의 낭비와 자연 훼손이 더 심각할 따름이다.

물론, 안동지역 하면 우리 나라 전통 유교문화가 가장 뿌리 깊게 남아 있는 지방이지만, 주민들도 국토의 유용성과 진정한 산림의 보존과 자연환경의 보호를 어떻게 할 것인지를 잘 판단해야 한다. 물론, 납골당 건립으로 인한 장의 차와 성묘 차량의 증가로 번거로운 면도 없지는 않겠으나, 지역의 묘지 난을 해소하고 지역 특수성을 살린 홍보로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할 것이다. 어차피 국가 시책도 납골당 육성으로 가야만 미래의 국토환경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인 만큼 지역자치단체의 적극적 해소책이 요망되는 바이다. 단순히 시설 자와 주민과의 쌍방대립으로만 방관하지 말고 모두가 자치행정의 몫임을 자인하고 해결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공원묘지나 납골당은 살아 있는 자 누구든지 언젠가는 가야할 곳이지만,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증축에 대단히 어려움이 쌓이고 있다. 다만, 안동 월봉사 뿐만 아니라, 이후에도 계속하여 이러한 분쟁의 요소가 기다리고 있는 한, 정부와 지방행정기관에서는 장묘제도 정착의 확고한 정책을 수립하여 과감하게 설치 및 운영 할 수 있도록 시행해야 할 것이다.

사자(死者)의 행복추구권을 보장한다면 산 사람의 아파트만 토지수용이나 건립에 인ㆍ허가 내지는 자금 융자의 특혜만을 줄 것이 아니라, 납골당 건립은 물론, 장례문화개선에 정책적 배려가 반드시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후세에 물려줄 국토에 대해서 우리가 전적으로 책임져야 할 때,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주민 모두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과감히 버려야 할 것이다.
2000-08-12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